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대구 민·군 공항통합 이전‘줄다리기’..
사회

대구 민·군 공항통합 이전‘줄다리기’

이율동 기자 입력 2017/01/09 18:35 수정 2017.01.09 18:35
-국방부, 예비 이전 후보지 5곳 지역설명회, 대구지역 이전 반대 움직임

 국방부가 대구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 5곳의 지자체에 대한 지역설명회 시작과 발 맞춰 대구지역 공항 이전반대 움직임도 구체화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9일 대구·경북하늘 길살리기 운동본부와 대구·경북지방분권운동본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오는 12일 오후 2시 수성구 범어도서관에서 통합공항 이전의 타당성을 진단하는 토론회가 개최된다.

토론회에는 경북대학교 김형기 교수를 비롯한 공항전문가들이 다수 참여하고 공항 이전에 반대의견을 피력했던 기초단체장도 참석할 예정이다.

토론회 주최 측 관계자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통합공항 이전에 대해 절차적 정당성도 갖추지 못했고 공항 이전에 따른 경제적효과 예측도 공정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의 일방적 주장”이라며 토론회 배경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공항 이전에 관한 대구시민의 의견수렴이 없었고 국방부가 발표한 경제성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일방적 주장이란 점, 이전하는 대구 민간공항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지원 전무, 이전 통합공항의 동네공항 전락가능성 등을 문제점으로 열거했다.

이 가운데 국방부 군 공항이전사업단은 9~12일까지 대구 민·군 공항 예비이전후보지 선정을 위한 경북 5개 지방단체별 주민 간담회를 잇달아 갖는다.

사업단은 9일 경북 군위를시작으로 의성(10일), 고령(11일), 달성·성주(12일) 주민 간담회를 벌일 예정이다.

국방부는 관련 지자체 간 대구 민·군 공항 통합 이전사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소통의 장을 갖고자 주민간담회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간담회에서 군 공항 이전사업 추진배경과 사업 추진절차, 군 공항 유치 시 경제효과, 군 공항 이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피해와 고도제한에 따른 제한사항 및 대책 등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민간공항 이전사업에 대한 내용을 연구용역 기관에서는 연구결과를, 대구시에서는 이전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방안을 각각 발표할 계획이다. 이후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궁금사항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일방적인 사업설명이 아닌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소통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한 만큼 공감대를 형성해 대구 민·군 공항통합 이전 사업을 주민 참여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앞서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신공항 건설에 6년 간 5조2625억원이 투입되는 대구공항 이전 사업에 경상북도에 7조 2899억원의 생산유발액이 발생하고, 부가가치유발액은 2조5899억원, 취업 유발인원은 5만1784명이 발생한다는 연구 용역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국방부는 내달 초 이전 후보지를 선정한 후 이전 공항 주변 지역에 대한 지원계획 수립과 심의 등은 물론 주민투표 절차를 진행한다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지만 대구지역에서 이전 반대여론이 확산될 경우 일정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