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제11전투비행단을 경북 예천으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한 주민 여론조사에서 찬성의견이 반대의견보다 높게 나왔다.
대구YMCA 등의 시민단체는 29일 대구 중구 상서동 대구YMCA청소년회관에서 '항공기 소음피해 및 대책에 대한 지역주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세종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6∼27일 예천군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지조사(46명)와 ARS전화조사(454명) 결과, 공군 제11전투비행단 이전 찬반조사에서 '찬성' 48.1%, '반대' 30.7%로 나타났다.
나머지 21.2%는 '잘 모름'으로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4%다.
성별로는 남성(59.8%)이 여성(37.6%)보다 찬성 의견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56.1%), 30대(50.6%), 20대(47.7%), 40대(47.1%), 60대 이상(44.9%) 순으로 이전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예천공항이 있는 유천면(64.8%)과 인접한 개포면(61.3%)은 이전 반대 응답이 더 높았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냐'는 물음에는 '그렇다'(61.1%), '잘 모르겠다'(19.7%), '그렇지 않다'(19.2%) 순으로 조사됐다.
이전 반대는 '공항 주변 소음문제'(85.9%), '지역개발 도움 안 됨'(9.2%), '고도제한 재산권 행사 제한'(2.3%) 등을 이유로 들었다.
대구YMCA 측은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을 이전하는 지역에 주민 생활환경 개선, 소음피해 해소 등의 명목으로 5000억 원 정도가 투입된다"면서 "공군 제11전투비행단 단독 이전을 위해 시민 서명운동을 펼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6·13지방선거의 주요 쟁점인 대구공항과 공군 제11전투비행단 통합이전은 지난해 6월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자 박근혜 전 대통령이 민심 달래기 차원에서 제안한 것이다.
기부대양여로 큰 틀이 잡혔고 대구시는 공군 제11전투비행단만 받아줄 지역에 없다는 판단에서 통합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권영진 대구시장을 제외한 나머지 예비후보들은 공군 제11전투비행단만 옮기자는 주장을 펼치며 릴레이 1인 피켓시위를 했다. 양인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