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담배의 위해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에 담배의 성분과 위험도를 분석하는 TF팀을 구성, 하반기 본격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이 팀은 담배 안에 들어 있는 성분과 담배 연기와 담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고 흡연 실태조사 등 조사와 심층 분석을 총망라한다.
현재 담배 성분 분석은 담배 업체가 자체적으로 하고 있으며 함유량을 보고해야 하는 성분은 타르와 니코틴 2가지에 불과하다.
세금과 흡연제한, 판매 가격, 제조 허가 등은 국민건강증진법과 담배사업법에 의해 관리 되고 있지만 위해성을 알 수 있는 성분은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때문에 국민들은 1급 발암물질인 담배가 어떤 성분으로 이뤄지는지 기초적인 정보도 알 수 없었다.
반면 미국의 경우 2009년 6월 '가족흡연예방 및 담배규제법'을 제정,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새로운 담배 제품에 대한 시판 전 심사 및 담배 정보 공개를 시행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에 세계보건기구 등의 도움을 받아 담배 분석 방법론을 정립하고 국제 인증 기준에 맞춘 실험실을 설치해 담배 위험성 분석에 나서기로 했다. 연구소 설치 및 운영 등으로 40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로 현재 실험 인력 등을 모집 중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담배에는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방부제, 우레탄, 페놀, 벤조피렌 등 무려 4000여 종에 달하는 유해성분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립 환경보건원은 지난해 담배 연기 속에는 니코틴 등 7000가지가 넘는 염기성 유기화학물질이 들어있으며 이중 적어도 100가지는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고 발표했다. 특히 그중 69가지는 발암물질이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태아 DNA 형성에 막대한 변화를 야기한다고 보고했다.
이와 함께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 의과대학은 담배산업이 인정한 담배첨가제 599가지 중 100가지이상이 담배의 습관성을 더욱 강화시켜 담배를 끊기 어렵게 만든다고 밝히기도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담배 성분 분석 등은 담배업체가 자체적으로 하고 있고 공개하는 성분이 극히 적어 안정성 관리가 힘든 측면이 있었다"며 "국가 차원의 담배 분석이 시작되면 담배 제조에 어떤 재료가 들어가고 국민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으로 입증돼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