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일본731부대 진실규명에 나선 일본의학계..
사회

일본731부대 진실규명에 나선 일본의학계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4/13 14:47 수정 2015.04.13 14:47
  과거 2차 대전 중 벌어진 일본군 731부대의 생체 실험 등에 관한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며 의료·보건업 종사자,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의사 윤리 과거·현재·미래 기획실행위원회'는 12일 일본 교토(京都)시 소재 지온인(知恩院)와준(和順)회관에서 '역사에 입각한 일본 의사 윤리의 과제'라는 특별 행사를 열어 731부대의 생체실험 문제를 조명했다고 한다. 일제의 인간 생체실험, 이른바 마루타 실험을 자행했던 731부대를 반성하는 목소리가 일본 의사들에게서 나온 것이다. 위원회는 잔혹한 생체실험은 반인륜적 범죄라면서 실체를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관동군 731부대의 대표적인 전쟁범죄는 산 사람의 혈액과 장기를 제거하고, 탄저균과 페스트균을 주입하는 등 잔혹한 세균실험으로 사람을 통나무 즉 마루타로 취급했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1932년부터 중국 하얼빈에서 진행된 731부대 생체실험으로, 중국과 한국인 3천 명이 희생됐지만, 그 실체는 제대로 규명되지 못해 왔던 것이다.곤도 쇼지(近藤昭二) 731부대·세균전 자료센터 공동대표는 731부대에 관한 자료가 거의 공개되지 않은 문제를 지적하고 공개 요구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지금도 확인 중이라는 말만 할 뿐"이라며 "어쩌면 731부대에 관해서는 미국과 일본 사이에 (관련 자료를 공개하지 말자는) 밀약이 있는지도 모르겠다"고 의혹을 제기했다고 한다. 그는 중국인 유족이 낸 소송에서 도쿄지법이 세균전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음에도 일본 정부는 진실 규명에 전혀 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곤도 공동대표는 731부대에 관여한 의사 가네코 준이치(金子順一)가 전후 교토대에 제출한 논문 중에 페스트에 걸린 벼룩을 중국 각지에 뿌렸을 때의 살상 효과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유사한 자료가 전국 대학에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진실 규명이 조금씩 진전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뉴욕에서 활동하며 '731, 이시이 시로(731부대장)와 세균전 부대의 어둠을 파헤친다'는 책을 쓴 저널리스트 아오키 후미코씨는 미국과 일본이 731부대에 관해 일종의 거래를 함으로써 역사가 뒤틀리게 됐을 것이라고 시사한 바있다. 그는 또 "먼저 무엇이 일어났는지, 진실이 무엇인지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료 공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그는 "위안부 문제에 관해서도 역시 사실 인정이 가장 중요하다"며 "그것은 일본이 제대로 해야 할 일이며 이를 하지 않고 그런 일이 없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제언했다. 일본 의학계는 전쟁범죄에 대한 철저한 자기 검증과 자성을 강화하고 나섰지만 아베 정권은 오히려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독일이 이미 1946년 '의사들의 재판'으로 불리는 뉘른베르크 재판을 통해 의학 전범 23명을 단죄했던 것과는 대조적 상황이다. 종전 70주년, 일본의 양심적인 의사들은 과거 일본의 전쟁 범죄 단죄와 통절한 반성을 통해 일본 의학계를 바로 세우고 독자적으로 그런 심포지엄과 강연, 전시회를 함으로써 일본 의학·의료계를 바꿔가는 밑걸음이 될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