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4월 9일 경남기업 전 회장 성완종씨가 북한산 형제봉의 나무에 푸른색 넥타이로 자신의 목을 매 자살하였다. 전 회장의 시신에서 나온 유서에는 뇌물을 준 현 정치계 고위 인사들의 명단 때문에 언론은 물론, 연일 특별방송을 하듯 시끄럽기만 하다. 대부분 성완종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면서도 일부 한국인들은 정경유착(政經癒着)이 빚은 국민혈세를 나눠 도적판을 벌이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또한 국회에서 특별법을 제정하여 수사를 하지 않고는 도저히 올바른 수사를 할 수 없다는 비관적 견해가 난무한다.
항간의 국민들은 성완종의 자살을 보고, 민주화를 외치며 다투어 대는 與野 정치인들은 민주정치 70년이 가까워 왔는데도 속내는 여전히 부정한 뇌물공여에 대해서는 중개인을 두던 아니면 본인이 직접 돈을 받는 행위를 계속해 오고,
대한민국 건국이후 소위 한국 경제인들은 대통령과 그 최측근인 실세에게 무슨 수로든 거액의 뇌물을 건내지 않고는 사업에서 성공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국세청, 검찰 등 수사기관의 수사에서 보호받고 은행의 대출 등 도움을 전폭적으로 지원 받으려면, 최고 권력자나 측근 실세에게 남 모르게 거액의 돈을 바쳐야 성공한다고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가난한 서민이나 정직한 사업가에게는 은행 돈은 대출받기 어렵지만, 권력자에게 뇌물의 비자금을 바치는 자는 은행 돈은 제호주머니 돈처럼 마음대로 쓰고, 설사 가져간 은행 돈이 사고가 발생하여 감옥에 가더라도 오래지 않아 권력자로부터 사면을 받는 세계가 실제 한국 사회인 것이다.
대한민국 정치인에 부정뇌물을 어떤 명분으로던 바치는 경제인이 어찌 성완종 뿐일까? 뇌물바친 경제인이 모두 양심선언의 실토를 한다면, 정치판은 국민들의 분노에 의해 폭탄으로 폭파시켜야 할 대상들일 것이라는 비판도 끊이질 않는다.
검찰은 성완종의 유서에 근거한 뇌물을 받은 자들에 대해 수사를 한다고 언론으로 보도했다고 한다.
지금의 한국사회는 어찌 기업인 성완종 하나의 정치계 뇌물공세만 있을까? 권부에 남몰래 돈 바치는 자들이 기업인들만 있을까?
검찰의 수사는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 수사와 비등하다는 항설이다.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같은 검찰이 성완종 유서를 근거로 뇌물받은 자들의 수사에 기대하는 국민이 얼마나 될런지도 의문이다. 검찰의 수사도 특검의 수사도 대다수 국민들은 기대하지 않는다고 평가하는 비판도 있다. 與野가 국회에서 특별법 제정을 통한 수사에서만 국민이 납득하고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여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