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에서 지난해 추진한 ‘예천 친환경 및 무항생제 양돈사양기술 보급사업’이 친환경 양돈을 생산하고자 하는 도내 양돈농가에게 보급될 전망이다.
최근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양돈을 사육하는 농가들은 더위와의 전쟁이 시작됐다.
매년 반복되는 폭염으로 자돈 폐사율 및 번식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데, 국립축산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폭염기간 열 스트레스로 인한 돼지의 사료 섭취율은 11%이상 하락하고 증체율도 16% 이하로 떨어진다.
이에 경북농기원은 지난해 예천지역에 실시했던 ‘친환경 및 무항생제 양돈사양기술 보급’을 지역특화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안개분무시설’을 돈사에 설치해 폭염 시 주변온도를 4~5℃ 가량 떨어뜨려 열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유용미생물 혼합분무를 통해 ‘축산분뇨 냄새’를 저감하는 친환경 양돈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천연정제봉독을 사용한 ‘무항생제 양돈’을 통해 안전한 축산물 생산기반을 구축했다.
이 사업에 참여한 대한한돈협회 예천지부 이상희 대표는 “사업 전에는 여름철 폭염기만 되면 돈사 내 돼지 걱정에 밤잠을 설친 적이 많았는데 사업을 통해 자동으로 안개분무시설이 가동돼 돼지의 사료섭취량 개선과 폐사율 감소로 생산성이 크게 증대되어 만족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북도가 지난해 추진한 사업성과를 분석한 결과, 사육두수는 사업 전 3만두에서 3만5천두로 17% 증가됐고, 소득도 15% 증대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자돈폐사율이 5% 감소되고 비육돈의 일당증체량이 1% 증가되는 등 괄목한 만한 성과가 도출됐으며, 악취 민원발생이 크게 감소한 것도 최대의 사업성과이다.
경북농기원장은 “지역 농업의 여건을 고려한 전문화된 신기술을 지원하고 패키지화해 농업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혹서기 맞춤형 냉방기술을 통해 축산농가들이 안심하고 영농에 종사할 수 있도록 사업을 매뉴얼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