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의 대표적 관광지였던 송도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을 위한 관련기관들의 양빈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앞서 포항시가 인근 중앙동 뉴딜사업에서 나오는 모래로 송도에 넣었다가 토분과 유기물 등으로 모래품질 논란을 빚었는데, 이번에는 포항해수청의 공사방식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포항지방해양수산청은 송도해수욕장을 복원하기 위한 1단계 사업으로 지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잠제공을 설치했다. 인공으로 모래를 넣기 위해 물속에 제방을 만든 것.
이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한 후 지난해 모래를 실제 넣기 위한 양빈작업에 들어갔다.
특히 명품 백사장 복원을 위해 품질이 좋은 해사를 넣기로 하고 업체까지 선정했지만 기준에 맞는 모래를 찾지 못해 1년을 보내다 최근 울진 쪽에서 모래를 찾아 지난 22일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투입될 모래 양이 전체 14만5천㎥여서 올 연말까지 작업이 진행될 예정인데, 공사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먼저 공사차량들이 운송거리를 줄이기 위해 중앙선을 침범해 불법 유턴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수 시민들이 관심 갖고 있는 사업을 하면서 불법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것이 인근 주민들의 목소리이다.
더구나 불법 유턴하는 장소가 해도쪽에서 송도해수욕장으로 들어오는 곡선부분의 끝부분이어서 상대 운전자들이 이같은 불법 유턴하는 것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자칫 대형 충돌사고의 우려까지 제기된다.
이와 함께 포항해수청은 인접한 부분에서 시행했던 포항시 양빈사업과는 다르게 오탁수방지막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포항해수청은 “포항시와는 다르게 많은 양의 모래가 투입될 예정이어서 해변에 가깝게 오탁수방지막을 설치하기가 어려워, 멀리 있는 잠제공 쪽에 설치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잠제공 양쪽으로는 오탁수방지막이 설치돼 있지 않아 오염사고가 발생할 경우 영일만을 거쳐 동해로 퍼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포항시는 예산을 절감하고 해수청이 하는 양빈사업에 동참하겠다며 인근 중앙동 뉴딜사업에서 나오는 퇴적토 모래를 송도해수욕장에 넣었지만 흙탕물과 함께 토분, 유기물 등으로 품질이 떨어진다며 주민들이 사업중단을 촉구한 바 있다.
한편, 포항 송도해수욕장은 과거 백사장이 십리에 이를 만큼 넓고 아름다워 포항의 대표적 관광지였지만 포항제철소 건립을 위해 형산강 하구 물길을 돌리면서 백사장이 쓸려나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며, 2007년 송도해수욕장은 공식적으로 폐장됐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