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오천이 쓰레기장이냐… 포항시 해도 너무하다”..
경북

“오천이 쓰레기장이냐… 포항시 해도 너무하다”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0/09/21 20:10 수정 2020.09.22 09:00
- SRF·발암물질 석면 이어 이번엔 산업폐기물 매립장 증설까지…
- 주민들 건강·재산·환경권 무시한다며 반발... 비상대책위, 시청서 불허 촉구 집회
 21일 포항시청 광장에서 개최된 오천SRF비상대책위원회 시위 모습. 이들은 포항시와 대구환경청에 네이쳐이앤티와 에코시스템의 지정.산업폐기물 매립장 증설을 절대 불허할 것을 촉구했다.
 21일 포항시청 광장에서 개최된 오천SRF비상대책위원회 시위 모습. 이들은 포항시와 대구환경청에 네이쳐이앤티와 에코시스템의 지정.산업폐기물 매립장 증설을 절대 불허할 것을 촉구했다.

포항 오천 주민들이 또 다시 환경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SRF(생활폐기물자원화시설) 환경오염 논란, 오천행정복지센터 석면(발암물질) 검출에 이어 최근 또 다시 인근에 산업폐기물 등의 매립장이 증설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경북 포항시 남구 소재 오천SRF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포항시청 광장 에서 집회를 갖고 “네이쳐이앤티, 에코시스템의 지정.산업폐기물 매립장 증설을 절대 불허할 것”을 촉구했다.

비상대책위는 “코로나19로 다들 힘든 지금 형산강 이남 지역 대송, 오천, 연일, 제철, 청림 지역 주민들은 이보다 더 큰 걱정거리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기자회견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비대위에 따르면, 33,8m 호동쓰레기소각장 SRF 시설도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데 두 업체가 그동안 주민과의 약속을 어기고 지정.산업폐기물 증설 사업안을 내놓았다는 것이다.

네이처이앤티의 증설 목적은 6매립장 재해안전시설 D등급 안정화를 이유로, 에코시스템은 철강공단 및 산업단지의 폐기물의 수요 증가 처리를 이유로 두 업체가 주민과의 약속을 무시한 채 새로운 부지를 찾으려고 노력하지 않고 주변 주민의 건강권, 재산권, 환경권의 기본적인 권리를 무시하는 증설을 강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490만m³의 매립용량으로 엄청난 크기의 산업쓰레기 매립지를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1994년 유출사건을 핑계로 이제 26년이 지나서 안정화한다는 명목으로 썩은 쓰레기를 파내서 옆으로 옮기고 또 증설하려는 꼼수를 더 이상 부려서는 안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3월 24일 환경영향평가 초안은 6매립장만 파내어 380만m³ 증설안이었는데, 8월 786만m³로 7~11 매립장도 파낸다고 포항시에 초안을 변경시켰다.

대책위는 "앞으로 20년 더 하면서 매립용량 786만m³ 이라는 엄청난 양의 산업폐기물 쓰레기 매립장을 증설하겠다는 계획은 인근 주민들에게는 너무나 잔인한 계획"이라는 주장이다.

2014년 8월 동양에코 때 주민들과 상생협약서의 약속의 시간은 2017년 12월 31일까지였다는 것. 즉 재난안전시설 D등급의 안정화는 참고 인내해 온 인근 주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또 2006년 사업을 시작한 에코시스템은 지금 매립용량 319만m³으로 쓰레기 산을 만들어 놓았다는 지적이다.

허가받은 지하 20m, 지상 25m의 쓰레기산도 모자라 아파트 15층 높이 지상 40m의 더 높은 쓰레기산을 쌓겠다고 증설허가를 신청했다는 것.

대책위는 “구 청록이 대보 주민들의 반대로 이곳에 20m 깊이 땅을 팔때는 강풍이 잦은 이 지역에 비산먼지를 날리지 않겠다는 일말의 양심은 있었을 건데 에코시스템의 증설 목적인 철강공단 및 주변 산업단지의 폐기물 처리 주장은 포항시 쓰레기 처리량 30% 수치를 보더라도 거짓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지정폐기물은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 폐합성수지, 폐수처리 오니, 폐농약, 폐알칼리, 광재, 분진, 소각재, 폐유독물질, 폐석면 등 인체에 유해한 폐기물이라는 것.

따라서 대책위는 “이런 온갖 안 좋은 지정.산업폐기물 매립장이 인구 8만이 넘는 곳에 더 이상 증설되어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인허가는 대구환경청이 하는 것”이라며, “사업은 안전이 전제조건이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환경청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