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불법투기 폐기물 처리율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경북도내에서 불법투기 폐기물이 가장 많은 지자체는 영천시로 조사됐다.
이어 안동시, 성주군, 경산시, 포항시 등의 순인데 포항의 경우 이달에도 철강공단에서 불법투기 폐기물 2천여톤이 또 다시 적발돼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3선)이 경북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9월 기준 경북도는 발생된 불법투기 폐기물 109,849톤 중 35%인 38,802톤을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월 전국적으로 파악된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경북도 불법투기 폐기물 처리율은 43.3%로 전국 중 유일하게 50% 아래인 수치를 보인 바 있다.
경북이 전국에서 불법투기 폐기물 처리가 가장 꼴찌인 것이다.
2020년 9월 기준 경북도에는 처리되지 못한 불법투기 폐기물 71,047톤이 포항시, 경주시, 안동시, 영천시, 상주시, 경산시,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9개의 시군의 22개소에 남아있다.
이 중 12개소가 처리 착수조차 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고 주된 사유는 행정처분 진행 중(4개소)과 수사 중(4개소) 행정대집행 추진 중(3개소)이었다.
반면 인근 대구시의 경우 불법투기 폐기물 310톤 발생, 310톤을 모두 처리해 처리율 100%이다.
경기도는 불법투기 폐기물 발생량이 경북보다 더 많은 164,678톤이지만 99,245톤을 처리해 처리율이 경북보다 17% 정도나 더 높은 60.3%이다.
특히 아직도 처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북도내 지자체별 불법투기 폐기물 잔량(2020년 9월 기준)을 보면, 영천시가 30,897톤으로 가장 많다.
이어 안동시 9,410톤, 성주군 5,800톤, 경산시 5,774톤, 포항시 5,150톤 등의 순이다.
포항은 지난해 북구 청하면 상대리에서 3,150톤, 청하면 신흥리에서 2,000톤이 발생했지만 각각 행정처분 진행중 및 수사중의 이유로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최근 포항 남구 철강공단 내 폐업공장에서 또 다시 2,600톤의 불법 폐기물이 적발돼, 이것까지 합하면 7,700여톤으로 늘어나면서 5위에서 3위로 순위가 껑충 뛰어오르게 된다.
이로인해 포항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불법투기 폐기물 처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경북지방경찰청에서 폐기물관리법 위반으로 송치된 인원은 2015년 114명, 2016년 222명, 2017년 315명, 2018년 284명, 2019년 387명으로 5년 사이 세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