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지방대학 발전은 지역발전과 직결된다”..
오피니언

“지방대학 발전은 지역발전과 직결된다”

이재욱 기자 입력 2020/11/17 19:21 수정 2020.11.17 19:25
                   이 수 한                                 본사 부회장
                   이 수 한                                 본사 부회장

청운의 꿈을 안고 대학 캠퍼스에 첫 발을 디딘 대학의 새내기들은 활기가 넘치게 살아 움직이고 있으나 막상 속 깊게 돌아본 대학은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열악한 대학운영상 재정난에서 오는 대학시설 면에 놀라는 곳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100여명 이상 꽉 들어찬 강의실하며 고등학교 교실의 책걸상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강의실의 책걸상 상태, 허술한 시설에 신입생들은 그저 의아하기만 하다.

최고학부의 대학이라는 곳이 이정도로 허술하고 너무나도 초라하기 때문일까 특히 재정이 열악한 지방대학 학내시설은 노후화된 건물에 허술하다 못해 판자촌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현재 아파트 신규 단지에 위치한 초등학교 시설에 비하면 수준에 따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은 세계1,2위를 다툴 정도로 진학률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직장에 다니면서 대학교육을 받는 것까지 포함하면 90%이상 수준이상으로 늘어나고 있는 분석이다. 그러고 보면 대학교육이 엘리트 교육에서 이제는 보편화된 교육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의 격차는 날로 심화되고 있으며 종국적으로는 대학졸업 후 취업까지 차별화 되고 있어 지방대학은 발전적이기 보다는 날로 쇠퇴 폐교하는 대학이 속출 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걱정들이다, 교육계가 지적되고 있는 지방대학 대부분이 재정적으로는 열악한 운영난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주소로 열악한 지방대학을 우선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안 등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대학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재정난 속에서도 신입수급에 차질까지 겹쳐 재정난을 더 가중시키고 있어 지방대학 발전에 걸림돌이 되있다. 열악한 지방대학을 바라보는 신입생 대부분은 지방대학 지원을 외면하고 수도권 등 명문대학을 선호하는 현상으로 지방대학 운영난을 압박시키고 있다. 이런 와중에 정부의 대학지원책에서도 수도권과 지방대학에 차별화 지원 정책의 영향으로 지방대학의 앞날은 어둡기만 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연간 교육예산은 대부분 내국세기준으로 범위 내에서 집행 되고 있다. 책정된 예산 중 80%수준으로 초·중등 교육에 지원하고 대학교육에는 20%정도 지원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도권 대학에 70%정도 집중지원 투자로 지방대학은 소외되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 구분없이 재학생 수 별로 지원하는 초등학교 교육예산 지원과는 비교되는 교육정책에 따라 지방대학발전을 위해서는 예산지원책의 개선이 시급하다.

연간 대학투자 연구비 지원도 수도권대학에 비하면 지방대학은 1/3수준의 연구비가 지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의 수도권 집중으로 나타나는 모순이다. 이런 결과는 지방대학의 신입생은 물론 재학생 수의 격감에서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수도권 대학선호로 대학졸업까지 학자금 비롯한 생활비 지원에 가정살림에 어려움으로 엄청난 부담을 안고도 수도권 대학에 보내려고 애를 쓰고 있다.

이런 현실은 적게는 가계문제, 크게는 지방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하다는 지적들이다. 지방대학이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원인은 한 두가지가 아니다. 열악한 재정과 시설도 문제이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대학졸업 후 취업에서부터 달라진다.

수도권의 대기업들과 공공기관들은 지방대학출신들의 지원서는 형식적으로 접수되고 최종선발에서는 명문대와 수도권 대학 출신들을 우선하기 때문에 지방대학 출신들의 대기업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일부기업들 중에서는 지방대학 출신자들은 아예 추천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기업도 있다.
지방 중소기업과 사회각계 단체들조차 지방대학 출신 취업희망자들을 소외시키는 사례가 빈번하다.

대학졸업 후 사회진출의 길이 막히는 지방대학 출신들의 취업 누적현상에 지방대학 지망 기피현상은 점차적으로 늘어 신입생 수급에 차질로 재정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대학 차별화의 모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취업지원서란에 학벌기재를 없도록 하는 등 신규직원 채용 시 학벌위주에서 능력위주로 선발 채용토록 유도하고 있으나 끝내는 학벌 위주의 채용이 우선시 되고있어 지방대학 지원 기피현상 해소는 요원해보이고 있다.
지방발전과 직결되는 지방대학 활성화 방안은 정부의 교육정책만으로는 안된다. 

인력채용 위주가 되고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공공기관들이 신규채용 시 학벌위주에서 능력위주로 개선되어야한다. 대학을 지역제의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고질적인 지방대학의 열악한 재정난 해소책으로는 정부의 대학교육 투자 예산의 배정에 수도권과 지방대학간 적정한 배분이 따라야 할 것 이며 학부모들의 고통해소와 학생들이 지방대학을 선호토록 획기적인 지방대학 활성화 교육정책이 따라야 할 것이다.

서울대와 같은 명문대학이 지방에 소재하고 시·도단위 거점대학인 지방의 국립대가 동반성장해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면 지방대학 졸업 후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대학교육의 평준화로 지방대학 활성화는 물론 학부모들의 가계부담 해소와 교육정책의 악순환이 거듭되지 않도록 백년대계를 내다보는 교육정책 개발에 중지를 모아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