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7일 23개 시·군 상하수도 사업소장·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2021년 시·군 상하수도 관계관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상하수도 분야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현안사업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올해 경북도는 ‘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맑은 물을 공급’하고, ‘쾌적한 물환경 조성’을 위해 상하수도 316개소 사업에 6,253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작년 4,935억원 대비 27% 증가한 금액으로, 상하수도 관련 사업 추진에 탄력이 예상된 다.
상하수도 분야 그린뉴딜 중점 과제로, 수량부문에서는 시설 확충을 통한 보급 확대, 수질 측면에서는 노후화된 시설의 현대화, 기후변화 분야에서는 가뭄·수질·도시침수 등 사고대응체계 구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이다.
먼저, 상수도 분야에서는 작년 141개소 2,959억원보다 37% 늘어난 167개소 4,07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민의 물 복지 실현에 나선다.
이를 통해 경북도는 2025년까지 상수도 보급률을 92.9%에서 95%로 높이고, 누수율은 24%에서 15%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2022년까지 23개 전 시·군에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으로, 올해에는 포항, 구미, 영덕, 청도, 예천 등 14개 시·군에 865억 원으로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수돗물 적수·유충 사고를 예방한다.
하수도 분야에서는 작년 117개소 1,976억 원에서 9% 늘어난 149개소 2,177억 원의 예산으로 쾌적한 물환경 조성과 태풍·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침수를 예방한다.
집중호우시 상습침수 피해로부터 안전한 하수도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포항시 등 6개 시․군에 2023년 까지 총 1,637억 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여 도시침수대응사업을 추진할 예정으로, 올해는 156억 원을 확보하여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도시침수대응사업에 신규로 반영된 문경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 지역(모전동, 점촌동)은 금년부터 사업비 292억 원을 투입하여 우수관로 및 관리체계 등을 정비할 예정이다.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많은 예산을 확보한 만큼 조기집행으로 지역경제를 살리고, 맑은 물의 안정적 공급과 쾌적한 물환경 조성을 위한 상하수도 분야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