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TK행정통합공론화위 도청서 마지막 토론회 찬반양론 ‘팽팽..
경북

TK행정통합공론화위 도청서 마지막 토론회 찬반양론 ‘팽팽’

이종팔 기자 jebo24@naver.com 입력 2021/03/09 19:35 수정 2021.03.09 19:35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위원회)가 9일 오후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 북부권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4일 대구권, 5일 경북 동부권, 8일 경북 서부권에 이은 마지막 토론회로 토론회 1부에서 최철영 공론화위원회 연구단장은 ‘대구경북행정통합 필요성 및 비전’을, 최재원 공론화위원회 연구팀장이 ‘통합된 대구경북의 발전 전략’발표로 진행됐다. 이어진 2부에서는 전문가와 지역을 대표하는 주요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대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는 이도선 동양대 명예교수가 좌장이 돼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 권기창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장, 고문현 숭실대 법학과 교수, 신동우 상주상공회의소 회장, 최태림 전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지홍기 문경시 지역발전협의회 의장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회에서 최철영 연구단장은 ‘행정통합의 장점’으로 “행정통합으로 인구와 GRDP 규모 모두 경기도, 서울시에 이어 3번째를 자리를 확보하고 중앙정부와 협상력을 높여 분권화기반의 지역발전을 주도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아울러 “상하수도, 쓰레기매립, 고속도로 등 광역단위 공공시설의 효율화와 지하철 연장 등 기반시설 구축이 쉽고 그린벨트에 대한 친환경적 공동개발이 가능”을 강조했다.


지방재정 효율화와 확대로 주민복지 강화와 관련해서는“분리된 행정은 대구경북 최적의 정책 수립에 걸림돌이 된다"며 "대구는 서비스업, 경북은 제조업 중심으로 특화하면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스타트업 파크 유치, 신산업 공모사업, 쿠팡 이전, 메가젠 임플란트 기업 이전 등에서 대구와 경북이 서로 출혈경쟁을 한 것 등을 ‘분리의 비효율’ 사례로 열거했다.


통합방식에 대해서는 대구와 경북의 기존 시·군·구는 존치하면서 ‘대구경북특별광역시’나 ‘대구경북특별자치도’로 하는 2가지 방안을 소개했다. 이날 가강 관심을 끈 ‘통합된 대구경북 발전 전략’ 발표에서 최재원 팀장은 특히 ‘산업 구조’를 사례로 본사와 연구소는 대구, 생산시설은 경북에 두는 방안과 관련해서 “대구와 경북이 중복 투자하고 있는 신산업에 대한 기반시설을 공동 구축하고 인재도 공동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6면에 계속> 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