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수산자원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미래 어업자원 확보와 안정적인 어업 생산성 증진 등을 위한 연구개발 총력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를 위해 3대 중점과제로 ▲지역특화 품종의 연구개발 주력 ▲어업인 선호 고부가 품종 자원화 ▲수산 생명자원 회복 및 산업화 활용연구에 선택과 집중을 통한 어패류 총 8품종 320만 마리를 자원화 하여 동해안 황금어장의 전설을 회복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지역특화 어종인‘줄가자미’연구개발 주력으로, 연구원은 2019년 줄가자미(속칭:이시가리) 인공종자생산을 국내외 최초로 성공해 새로운 역사를 쓴 이후, 자원회복의 대명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량생산 기술개발 및 어미화 육종으로 완전양식 연구에 매진한다.
대부분 모래지형인 경북연안은 가자미류 서식에 적합한 해양환경으로 국내 가자미류의 60%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미 2010년 강도다리를 시작으로 2013년 돌가자미, 2015년 문치가자미 종자 대량생산 기술을 확보한 바 있다.
또한, 사라져가는 한해성 품종 자원개발 및 보존을 위해 수심 35미터 저층해수를 활용한 대문어 종자생산 연구개발은 국내 첫 생산을 목표로 야심차게 출발하여 먹이생물 개발에 집중하며, 특히 독도해역 도화새우(속칭:독도새우)는 2018년 인공종자 생산에 성공한 이후 대량종자생산 기술개발을 통한 VIP급 자원증강과 서식장 확대를 위한 노력이 지난해 11월부터 좋은 결과로 이어져 황금어장 조성에 청신호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역 연안 해삼 및 개량조개, 쥐노래미 인공종자 자원화, 볼락류 4종(볼락, 개볼락, 탁자볼락, 세줄볼락 등) 번식생태 연구, 가자미류 2종(돌가자미, 문치가자미) 자원화를 통한 사라져가는 종(種) 자원회복 발굴로 건강한 생태계 유지와 어업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수산 생명자원 회복 및 산업화 활용연구 추진과 관련해서는 독도 고유 왕전복 복원사업은 철저한 유전자 검증 후 자체 생산된 종자 확보·성공으로 올해부터는 차세대 어미육성을 통한 완전양식시험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대량생산이 성공할 시‘독도산(産)’브랜드를 앞세워 고소득 상품이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이영석 해양수산국장은 “경북 동해안의 100년 먹거리 준비, 수산 스마트양식과 함께 지역 특화 브랜드 연구개발, 지속적인 자원회복 지원 방안을 강화하고, 특히, 어업인과 소통을 통한 맞춤형 고소득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진들과 전력투구해 동해안 황금 어장의 전설이 재현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