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지역청년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경북에서 꿈을 이루고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2021경북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추진에 나섰다.
청년의 삶을 지원하는 종합 패키지격인 이번 시행계획은‘청년이 머무는 행복한 경북’을 목표로 청년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 사업수로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다인 148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국비 포함 총 2,658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분야별로는 ▲청년 일자리 분야 76개 사업 ▲주거 분야 5개 사업 ▲교육 분야 26개 사업 ▲복지문화 분야 21개 사업 ▲참여권리 분야 20개 사업 등이다.
먼저, ‘청년 일자리 분야’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업 절벽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일자리 등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통해 청년일자리 4천여 개를 창출을 추진한다.
아울러,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을 위해 예비창업-초기창업패키지-청년CEO심화육성-재도약 지원으로 연계되는 ‘청년창업 원스톱’ 지원체제 구축과 함께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알찬 사업들을 통해 1천 800여명의 창업 지원에 나선다.
또, ‘주거 분야’ 주요 사업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신혼부부 950세대’의 전세 임차보증금 이자를 2년간 지원하며,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의 월세도 일부 지원한다. 또한, 유입 청년을 위한 농촌 보금자리, 청년행복주택 등 공동임대 주택 보급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으로 ‘교육 분야’에서는 청년의 교육비 부담완화를 위해 대학생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1,500명)과 지자체-대학간 협업을 통한 지역혁신 인재양성 사업, 청년발전소 등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발전소는 청년들의 선호도를 반영한 웹툰, 콘텐츠 교육 지원과 코로나 블루 완화 등 청년의 심리적 안정과 청년주도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업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복지문화 분야’의 주요 사업으로는 청년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보호종료 청년 420명의 자립 지원, 청년 한부모 자녀양육비 지원 등 청소년 한부모, 결혼 이민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또한, 청년 근로자 1,260명에게 문화 건강증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1백만 원의 포인트도 지급한다.
‘참여권리 분야’에는 청년 주도형 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도에서 운영하는 각종 위원회의 청년위원 참여 확대, 지역 공간 재생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지역정착을 지원하는 청년자립마을 만들기 사업, 청년 공동체 활동비 지원 등 다양한 청년활동 활성화 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이에 경북도는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17개 실·국과 연구기관 및 청년정책참여단 등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추진단(TF)을 구성해 이번 시행계획에 포함된 148개 사업 추진과 270여개의 정부 과제에 대한 공모 참여, 국비 확보 및 연계 사업 발굴 등에 전략적으로 대처한다는 계획이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