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수 한
본사 부회장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지난 13일 일방적으로 2011년 3월 11일 대재앙의 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관련 발생한 방사능 유출로 당사국인 일본은 물론 주변국인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가 공포의 불안에 떨게한 사실이 잊혀지기도 전에 방사성 오염수를 2년 뒤부터 바다로 배출 하기로 결정 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저장 되어있는 방사성 오염수는 125만톤인데 이 가운데 하루 140톤씩 늘고 있다.
일부·오염수는 정화설비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물분자 구성물질로 들어있는 삼중수소 농도를 WHO 식수 기준치의 7분의 1정도까지 희석시킨후 30-40년에 걸쳐 방류 하겠다는 주장이다.
일본의 방사성 오염수가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방류를 밀어 붙이고 있는 것은 지상 저장 용량이 이미 91% 정도 포화상태로 더 이상 방류를 미룰 없다는 판단으로 국제사회는 물론 인접한 주변국들의 반발을 무릎쓰고 오염수 방류를 고수해오고 있다.
지진발생관련 후쿠시마 원전의 냉각수 공급이 끊키고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사고가 발생해왔다.
현재까지도 뜨거운 원자로를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붓고 있다.
원전내에도 빗물과 지하수까지 유입되면서 1일 140톤 정도의 오염수가 나오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현재 원전 부지내 총저장용량인 135만톤 가운데 90%정도인 125만톤이 실제로 저장되어잇다.
방류를 하지 않을 경우 2022년 말경에는 가득찰 것이라는 예상으로 더 이상 방류를 미룰 수 없다는 것이 일본의 판단이라는 주장들이다.
현재 저장 되어있는 125만톤에는 총 860조 배크랠의 방사성 물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L당 평균 58만 배크랠 수준이다.
1배크랠은 1초에 방사선이 하나 나오는 양이다.
일본정부는 바다에 방류할때는 완전히 냉각수 삼중수소 배출 기준인 L당 6만 배크랠로 희석하기 때문에 문제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주변국이나 국제사회에서는 기준치 이하로 희석되기 때문에 삼주수소는 당장의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는 하지만 해양 생태계나 장기적으로는 어떤 영향의 피해가 발생할지는 불확실하다는 대다수의 지적들이다.
최근 후쿠시마 연근해에서 잡힌 우럭에 기준치의 5배에 이르는 방사성 물질 세슘이 검출돼 처리능력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 사실이 있다.
일본 정부의 원전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인접한 우리나라엔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해수 방사능 오염 검사를 강화해왔다.
원전사고 당시 태평양으로 오염수가 일부 배출됐지만 지금까지 방사능 측정수치의 변화는 특별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번 일본정부와 방류결정으로 오는 2023년부터 오염수가 배출되면 한반도 인근까지 오염수가 오는데 7~8개월 정도 걸릴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방사성 물질은 바다에서 희석이 돼서 큰 영향은 없을것이라는 학계의 지배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긴하나 우려의 목소리도 배제할 수 없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3일 전국 연안 해역에 대한 방사성 물질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반응은 그렇게 곱지만 않다.
국제사회와 주변국들의 오염수 방류결정에 반발이 확산되고 있지만 일본정부의 결정을 막을 수는 없어 감시추적 정화정보공유가 관건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주변국들은 방사능 오염 우려에 지속적으로 국제공조를 요구 해왔다.
배출문제는 일본내문제이기 때문에 주변국이 일본정부의 결정을 강제할 수 없다.
일본은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동의를 받았다고 하지만 주변국들과 직접적인 논의를 한 적은 별로 없었다고 한다.
이런 관계로 오염수 해상방류 이후에도 감시 정보가 제대로 공유될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도 적잖다.
일부 전문가들은 일본 오염수 방류와 관련 반대도 중요하지만 방류수 처리 과정이 잘처리되는지 직접 참여 관여하는 방안도 중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성명을 통해 특수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일본은 여러 선택과 효과를 따져보면 투명하게 결정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수용된 핵안전 기준에 따른 접근법을 택한것으로 보인다고 긍적적인 반응 보이고 있다.
반면에 한국·중국은 일본의 오염수 방류결정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본은 오염수 저장에 어려움은 있겠으나. 예산 소요가 늘어나더라도 방류를 늦출수도 있다는 것을 감안 방류보류 대책을 강구 해야할것이다.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로 피해 당사국으로는 우리나라가 제일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와 공조 적극적인 대책강구로 대처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