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철강 원자재 가격급등... 업계 ‘비상’..
경북

철강 원자재 가격급등... 업계 ‘비상’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1/06/10 19:38 수정 2021.06.11 09:09
- 철근 유통가격 전년보다 80%이상 올라
- 정부, 유통망 점검·공급확대 추진

철강과 철근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관련 업계와 건설현장에 비상이 걸렸다.

이로인해 정부는 공사기간 연장 등을 통해 건설업계의 부담을 완화하고 공급확대 및 유통시장 안정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철근 수급 관련 건설업 대응방안이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에서 의결됐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철강가격 인상과 함께 국내 건설경기가 올들어 빠르게 회복되면서 철강 가격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철근 도매가격은 지난달 기준 1t 당 66만원으로 전년 동월(93만원) 대비 41%, 유통 가격은 85%(65만→120만원) 상승했다. 

건설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는 과정에서 철근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공급 능력을 일시적으로 초과하는 병목현상이 발생하면서다. 

건설현장에서는 납품이 늦어지며 공사가 지연되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공사원가 상승에 따른 건설업체 수익성 저하도 우려되는 상황. 구매가격이 높은 민간현장부터 철근이 우선 공급되는 경향이 있어 특히 공공 공사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우선 건설업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 공사의 경우 수급 불안에 따른 공사 지연, 공사원가 상승 등이 계약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발주청을 지도, 감독하기로 했다. 

민간 현장에도 건설단체를 통해 공기연장 등의 조치가 가능하도록 표준도급계약서 규정을 안내했다.

유동성 부족으로 철근 구매가 곤란한 건설업체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대상에 포함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중소건설사의 철근 구매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철강사에 연결해 공동구매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급량 확대를 위해서는 가용 생산설비를 최대 가동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철강 생산효율 제고를 위한 공정 선진화를 추진한다. 

여름철 설비 보수일정을 하반기로 조정, 가동률을 최대화하고 다른 제품보다 철근을 우선 생산해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중장기 생산효율 제고를 위해서는 공정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철강사들에게는 수출을 자제하고 수출 물량의 내수 전환을 통해 국내 공급 물량을 확대하도록 독려한다. 

지난 1~4월 철근 수출은 1만20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했다. 

또 수급이 안정될때까지 수입 철근이 신속히 통관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지난달 말부터 산업통상자원부, 국토부, 공정거래위원회는 합동점검반을 꾸리고 매점매석, 담합 등 비정상적 유통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수급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정부 관계자는 “국토부는 수급동향 점검회의를 수시로 열어 건설현장의 애로를 파악하고, 산업부는 유통점검 및 공급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조달청은 관급자재 수급 동향을 점검하고, 시장 가격을 수시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조달청은 지난달 ‘철강·원자재 수급 안정 관계부처 TF’회의를 개최하고 철강 공급 물량 확대 방안, 철강 유통 현장 점검 계획, 건설업 및 중소기업 원자재 구매 지원 방안, 비축물자 지원 현황 및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편, 사정이 이렇다보니 포항철강공단내 관련 업체들도 원가부담이 대폭 상승해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공사금액은 그대로 인데 철강 원자재 가격이 2배 이상 올라 공사하는게 오히려 손해가 날 실정”이라는 것이다.

김재원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