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中·日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곱지만 않다..
오피니언

中·日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곱지만 않다

이수한 부회장 기자 입력 2021/08/02 16:13 수정 2021.08.02 16:14

이 수 한
본사 부회장

 

 

우리나라와 지리적 조건으로는 인접한 이웃 국가들인 경제대국을 자칭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은 그렇게 곱지 않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이웃 두나라가 어쩌다 이렇게 인식이 좋지 못한 관계가 되었는지 되돌아 보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은 과거 일제강점기 거쳐 오늘에 오기까지 반일감정이 잔존 해오던 차에 일본이 계속 주장해오는 독도 영유권 문제와 오래된 반감이 국민의 감정을 자극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 출범 초부터 한일 위안부 합의예 대해 중대한 흠결로 충돌 새롭게 합의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지난 합의를 사실상 무산시켜 버렸다.
 이시기부터 한일관계는 파탄 상태로 냉전시대가 시작되게 된 것이다.


한일 관계가 얼어붙은 가운데 금년 신년회에선 과거 합의가 양국 정부간의 공식합의 였다고 사실을 인정하는 내용으로 완전 뒤집어 놓고도 그에 대한 사실에 대한 설명은 한마디도 없었다.


미국의 바이든 정부가 출범 한·미·일 협력을 중요시하고 나온데 대한 반응을 한일관계 합의을 뒤집는 것 아니냐는 추측일 뿐이다. 
그뿐아 니다 한일 관계 악화에 부채질을 하는 격의 한국 대법원의 징용피해자 판결도 뒤집혔는데 그에 대한 입장도 알 수 없다.


국내 정치권내에서 나온 “토착 왜구” “죽창가” 등 반일 몰이로 감정을 고조시켜 온 내용을 일본측일인지 내부적으로 반한 정서가 팽배했다.
 일본 정권은 문재인 정부와 상대하면 다음 선거에서 자신들이 패배하는 손해 볼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한국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혐오가 고조 되고 있다.
징용·위안부 문제등과 과거사 문제는 상호간 한발짝도 진전된 것없이 대립각으로 파탄만 났다.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먼저 저자세로 숙이거나 약하게 인식되면 더 무시하고 들어오는 외교수법으로 나오는 나라임을 국제사회에서 다 알고있는 사실이다.


오랜기간 국제외교를 그렇게 해온 방법이 습성화 되어있는 나라이다. 우리가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해온 노력에 대헤 중국이 어떻게 볼것인지를 잘 생각해봐야 한다.
문정부는 출범초부터 사드배치 관련 약속으로 주권에 영향을 미치는 양보로 굽히고 들어간 사실이 있다.


문대통령 중국 방문시 중국은 공개적으로 홀대한 사실이 있다.
우리측은 이사실에 이의없이 그대로 수용했다.
6·25 남침을 도와 우리국민을 살상한 중국이 평화수호를 위해 싸웠다고 하는데도 아무말 없이 입을 다물었다. 중국이 서해를 침범 자기들 바다로 만들려는 서해공정을 벌여도 합의 한번하지 않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우리에게 계속 치고 들어오고 계속 밀고 들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이 한국을 계속 국제사회에서 끊임없이 자극하고 있는 것은 우리가 자초할것이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 외교 안보의 중심축인 한미동맹을 문정부 스스로가 자충수로 흔들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보는 한미동맹을 이상하게 의식 할수록 중국으로부터 능멸 당할 것이다.
대·중·일 관계는 미국 다음으로 중요한 관계라는 것은 국제사회가 인식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서 中·日 관계는 사실상 심각하게 어긋나 있다는게 문제다. 
이런 상태에서 국내 정치권은 국민의 반일 정서를 자극 독초 궁리에만 신경쓰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 관계는 유연하게 대처 해야한다고 하지만 국내 정치를 위해 외교를 변절 시키지 않는 다는 금기 등 이다. 이건 근본을 지키는 나라는 그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다.
우리도 근본이 어떻게 됐는지 한번 쯤 되돌아 봐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