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의 환경오염 수준의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 중앙환경기동단속반이 지난 4월 대기업 사업장 10곳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벌인 결과 모두 38건의 법규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이들 대기업 사업장은 폐수를 무단으로 배출하거나 수질 자동측정기 측정범위를 조작하는 등의 ‘적극적인’ 오염행위를 일삼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한 차례 당국으로부터 환경오염물질 다량 배출로 적발된 전력이 있는 대기업들의 시정하려는 노력도 없이 측정기기를 조작하는 등의 적극적인 환경오염 행위를 서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기업들의 환경의식이 겨우 이 정도라니 창피하기에 앞서 놀라울 따름이다. 이런 일들의 배경에는 부실한 구제규정과 관리감독의 태만이 한 몫을 하고 있다. 환경부가 밝힌 양심불량의 실상을 보면 입이 벌어질 지경이다. 삼성토탈 서산공장의 경우 수질자동측정기(TMS) 측정범위를 조작하다 적발됐다. 현대차 아산공장은 고장 난 대기오염방지시설을 방치했고, 기아차 화성공장은 폐유를 몰래 흘려보냈다. LG화학 청주공장은 대기오염물질 자가 측정을 하지 않았고 수질오염방지시설 운영일지도 엉망으로 작성했다. 효성 용연1공장은 폐수를 무단 배출할 수 있는 이동식 배관을 따로 설치했다고 한다.‘배짱 방출’ 행태도 놀랍다. 이번 단속은 2012년 이후 환경법규 위반 전과가 있는 대기업 10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그 결과 10곳 모두에서 38건이 적발됐다. 정부의 시정 지시를 무시하고 위법행위를 계속해왔다는 뜻이다. 기업윤리의 타락이자 도덕적 해이다. 국민은 국내외 온갖 악재 속에서도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기업에 자긍심을 느낀다. 정부도 기업활동을 옥죄는 규제를 풀기 위해 백방으로 힘을 쏟는 중이다. 일부 대기업의 일탈행위는 이런 국가적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나 다름없다.
환경은 이제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최대 요인의 하나다. 무역장벽보다 더 높은 게 환경장벽이다. 환경성이 떨어지는 제품은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 조차 안되는 게 현실이다. 굴뚝의 탄소배출량까지 감시하는 세상이다. 환경을 외면하는 기업은 이제 생존조차 어려운 시대가 됐다. 굳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거론할 것도 없다. 이번에 적발된 환경 위반 기업은 하루빨리 완벽한 개선조치를 강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