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7천여억 ‘울릉공항’ 활주로 짧아 유명무실?..
정치

7천여억 ‘울릉공항’ 활주로 짧아 유명무실?

김상태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2/09/28 19:09 수정 2022.09.28 19:09
1200m 가능 기종 국내 없어
국회 “전시행정 사례” 지적

7,292억원이 투입되는 울릉도 울릉공항의 활주로가 짧아, 취항 가능한 항공사가 없는데도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준공을 강해하고 있어 자칫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항공기가 뜨기 위한 전제조건마저 연구기관마다 제각각으로 보고 있는 상황인데도 국토부가 입맛에 맞는 고무줄 잣대를 적용했다는 것이다.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따르면 울릉공항은 2025년 개항을 목표로 1,200m 활주로를 건설 중이나, 현재 해당 조건의 활주로에서 뜰 수 있는 기종은 국내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토부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기종마저 연구기관마다 이륙조건의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가 지난 2015년 기본 계획 수립 당시 검토한 기종은 ATR-42이다. 하지만 현재 해당 기종을 운용하는 항공사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운용기종을 통일해 수익성을 높이는 저비용 항공사(LCC)로서도 국내 도입은 쉽지 않다.
국토부는 소형항공사 ‘하이에어’가 취항 가능하다고 주장하지만, 하이에어의 운용기종은 국토부가 기본 계획에서 검토한 ATR-42가 아닌 ATR-72이다.
가장 큰 문제는 ATR-72가 이륙하기 위한 조건조차도 기관마다 제각각이란 점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1,200m 길이의 활주로에서 하이에어 ATR-72의 최대 이륙 중량은 21,130kg이다.
여기에서 OEW(비행기 기체 무게) 13,500kg, 연료(김포~울릉 기준) 1,216kg을 제외하면 6,414kg이 남는 까닭에 약 67명이 탑승 가능하다는 게 국토부의 주장이다. 그러나 울릉공항 실시설계에선 동일 기준 연료가 1,466kg이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이를 두고 국토부는 자체 계산에서 1,216kg으로 낮춰 더 많은 탑승 인원을 태울 수 있도록 입맛에 맞게 설정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ATR-72 기종의 제작사는 이륙 최소거리로 1,315m를 요구한다.
이는 울릉공항의 활주로인 1,200m를 크게 뛰어넘는 수치다.
또 한공안전기술원에 따르면, ATR-72가 무풍 및 건조 활주로 등 최상의 조건에서 1,200m 활주로에서 이륙하려면 19,500kg 이하로 운행해야 한다.
이는 국토부가 밝힌 최대 이륙 중량보다 훨씬 적은 수치다.
항공안전기술원이 제시한 19,500kg에 맞추려면 OEW 13,500kg, 연료 1,466kg을 제외해 4,534kg이 남아 사실상 47.7명만 탑승할 수 있다. 이는 기장, 부기장, 승무원 등을 제외하면 승객을 40명 이하로 태워야 하는 셈이다.
국토부의 주장대로 ATR-72를 울릉공항에서 띄운다면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울릉공항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국회의 지적이다.
국회 입법관계자는 “국내 항공사가 ATR-42 기체를 도입하지 않는 이상 개인용 경비행기 정도 밖에 띄울수 없다”며 “울릉공항은 대표적인 전시행정이자 예산 낭비 사례”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