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예비사회적기업 8개 25개기업 210명 지원
경북도는 지난 8월 21일 사회적기업 심사위원회를 열어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으로 8개 기업 신규 지정, 일자리창출사업에 25개 기업을 선정해, 1년간 27억원의 재정지원으로 21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번 심사에서는 신청기업의 사업내용과 견실성, 지속적 고용창출가능성, 인증가능성, 지정요건 충족 여부 등을 엄격히 심사해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으로 8개 기업이 최종 선정됐다.
선정기업은 3년간 경상북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원을 받게 되며, 매년 공모사업을 통해 민간 전문심사위원회의 적정여부 심사를 거쳐 일자리창출사업(최대 2년간, 1인당 월 평균 인건비 110만원 정도)과 기업홍보 등 연구개발을 위한 사업개발비 지원(최고 5천만원) 등 재정지원사업과 사회적기업 박람회, 공공기관 우선구매, 전문지원기관의 맞춤형 교육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또한 일자리창출사업으로 선정된 25개 기업은 9월부터 1년간 기업별 3명에서 15명까지 채용할 수 있다.
그 중 50%이상을 장애인, 고령자, 장기실업자, 결혼이주여성 등 취약계층 중심으로 채용해야하며, 최저임금 수준의 인건비를 지원받게 된다.
경북도내 사회적기업은 2015년 8월 현재 186개(도지정 예비사회적기업 101개, 고용부 인증기업 85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예비사회적기업에서 고용부 인증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기업은 2012년 8개 기업이 인증 받은데 이어 2013년 14개, 2014년 20개 기업이 인증받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사업개발비지원사업 규모도 2010년 29개 기업(730백만원)지원을 시작으로 매년 지원기업이 늘어나 2015년 지원기업(2,047백만원) 78개로 확대되는 등 자립에 성공한 사회적기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도는 도내 사회적기업의 양적·질적 꾸준한 성장에 맞춰 2018년까지 700여억원을 투입해 (예비)사회적기업 300개, 마을기업 150개, 협동조합 350개를 육성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설립취지에 맞게 취약계층에게 제공하는 사회적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하고 양질의 일자리창출과 지역사회공헌도를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제품 경쟁력을 갖췄으나 시장환경 대응 및 마케팅·홍보 부족으로 기업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기업의 자립기반을 지원하기 위해‘경상북도 사회적기업 종합상사’를 10월중 설립해 시장판로개척, 전문인력 컨설팅 등 전문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건강한 사회적기업 자립환경을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