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의 70% 이상은 비만 관리의 기준이 되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를 모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9일 글로벌 제약회사 노보 노디스크는 세계 비만의 날(3월4일)을 맞아 대한비만학회가 감수하고 노보 노디스크가 실시한 비만 및 BMI(㎏/㎡)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 중 26.3%는 비만(BMI≥25㎏/㎡)으로, 20.2%(203명)는 비만 전단계(BMI 23~24.9㎏/㎡)로, 전체 응답자의 46.4%가 비만 또는 비만 전단계로 나타났다.
응답자 1000명 중 본인의 BMI를 모르는 사람은 10명 중 7명 이상(70.5%)이었다. 실제 BMI 25(㎏/㎡)이상으로 '비만'인 사람이 자신의 BMI를 모르고 있는 비율도 70.7%에 달했다.
BMI는 자신의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대한비만학회는 BMI 23~24.9(㎏/㎡)를 '비만 전단계'로,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과 건강관리에 있어 중요한 지표임에도 이번 조사에서 본인의 BMI를 아는 사람은 10명 중 3명 이하(29.5%)에 그쳤다.
응답자가 본인의 BMI를 알게 된 경로는 국가건강검진이 34.9%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해당 비율은 증가했다.
저조한 BMI 인지율과 대조적으로,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은 88%에 이르렀다.
BMI 비인지자보다 인지자에서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다소 높았다.
비만으로 인한 동반 질환이 심각하다는 인식도 강했다. 특히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 이상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