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외화벌이 목적으로 중국 지린성 공장에 파견한 노동자 수천명이 폭동·파업을 일으킨 데 이어 아프리카와 중국의 다른 도시에서도 북한 노동자들이 폭동과 파업을 일으켰다고 산케이신문이 26일 복수의 대북 소식통을 인용,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프리카 콩고공화국에서는 건설현장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 수십 명이 2월로 예정된 귀국 연기에 반발해 폭동을 일으켰다.
또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의류 가공 공장에서도 2월 노동자 10여명이 귀국을 요구하며 출근 거부 파업에 들어갔다. 코로나 사태로 연기된 귀국에 대해 '30세 이상은 전원 귀국'이라는 북한 당국의 방침을 사측이 이행하지 않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케이는 지난 1월 중국 지린성 허룽시 의료 제조공장에서 북한 노동자 2000여명이 임금 체불 등 불만 누적으로 일으킨 폭동과 관련, "북한 당국은 4개월치 임금 지급을 약속하며 진정시키는 동시에 비밀경찰 등을 대거 파견해 공장 간부와 폭동 가담자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당국은 두 차례에 걸쳐 본국으로 이송한 200여명에 대해 폭동을 주모한 혐의로 처형과 정치범수용소 이송 등의 엄벌에 처할 전망이라고 산케이는 전했다. 산케이는 "북한의 정보 통제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대규모 폭동 소문이 중국과 러시아 등 해외에 총 10만명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 노동자들 사이에 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당국은 엄벌로 억누를 태세지만 폭동의 연쇄는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동북부에 있는 북한 식당 등에서는 인력난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신문은 26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대책으로 국경 관리를 엄격화한 북한은 지난해 여름 왕래를 해금했지만 귀국한 북한 노동자보다 새로 중국에 입국한 노동자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이 수용에 신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동북부에 있는 북한 식당에서는 기존에 15명 정도였던 종업원은 절반 정도로 줄었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인력 부족은 복수의 점포에서 확인되고 있어, 북한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폐점하는 점포도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과의 왕래가 가능해진 지난해 여름 이후 중국에 있던 북한 근로자 9만여명 중 1만명 이상이 귀국했지만, 이를 보충할 노동자가 오지 않아 "중국이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고 요미우리가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