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정치권 쇄신 경쟁, 국민이 보고 있다..
오피니언

정치권 쇄신 경쟁, 국민이 보고 있다

일간경북신문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4/06/10 17:04 수정 2024.06.10 17:05
이 수 한
본사 부회장

지난 4·10 총선 후 정치권의 쇄신 바람이 회오리치며 개혁적인 쇄신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기로에서 정당별로 소장파·신·구주류·중도·보수·진보 등으로 계파와 당대표 지지 세력과 비지지 세력의 정파 여야를 넘어 상호간 쇄신을 앞세워 경쟁적으로 주도권 장악을 위해 뚜렷한 노선 정책 등 비전 제시 없이 목소리만 높이고 있다.
당권 장악을 위한 세대교체 차원의 세력 재편의 사활을 건 투쟁적인 정치싸움으로 국민들의 눈에 비치고 있어 정치 후진성을 여과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아 민망하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여권에 불고 있는 쇄신의 바람이 민주당은 물론 야권 전반에까지 연쇄반응으로 몰아치며 국민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집권여당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 쟁취권이 직간접적으로 벌어지면서 상호 비방적인 난타전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국회의장 선출과 관련 당선자와 낙선자를 주축으로 지지세력간 암투가 노골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 대표 지지세력간 마찰음을 빚고 있어 당 분열까지 우려하고 있다.
여야간 모두가 세력 다툼으로 혼선이 계속되고 있어 정치권 쇄신에 앞서 내분으로 혼란이 거듭되고 있는 가운데 정당정치의 기본인 당 운영의 민주화의 대화에 의한 소통으로 노선 정책 비전을 제시하는 발전을 지향적 정치권 쇄신만이 국민들이 신뢰하고 믿음이 뒤따를 수 있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성공적인 정치 쇄신이 될 것이라는 점을 정치권은 알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집권여당이 총선 참패를 계기로 정치권 쇄신을 위해 먼저 물꼬를 터고 지금까지의 계파간 이해타산과 갈등의 대립 속에 한 지붕 세가족 같은 당 운영 체제를 쇄신하겠다는 의지로 쇄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소장파들이 좀 늦은 감은 있으나 총선 공천 문제를 비롯한 일대 개혁차원의 조치를 동반한 정치권 쇄신책의 여야를 넘어 정치권의 후진성을 벗어날 수 있도록 전반적인 확산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데 대해 지금까지는 외형적으로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보고 있긴 하지만 정치권의 성공 여부는 우려 속에 걱정들이다.
정치권이 국민들의 신뢰 속에 거듭나겠다는 각오로 쇄신책을 쏟아내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국민들을 외면하는 쇄신책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 계파와 정파간 당권 장악과 실리추구를 위한 정치적 작태로 비춰져서는 국민들로부터 지탄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정치권 쇄신의 원칙과 기본인 당의 민주적 운영 방안 비전과 정책 등 정치적 노선을 핵심적으로 쇄신해나가야 할 것이다.
정책적인 운영 체제 쇄신없이 계파 또는 정치적 논리만 가지고 의견대립 등으로 특정인 배제와 같은 인적쇄신으로 갈등과 대립의 날을 세우는 쇄신은 정적만 양산·실패하는 정치권 쇄신으로 국민들의 엄정한 심판만 기다리고 있다는 것도 정치권은 잊어서는 안 된다.
정치권 쇄신 주장은 정치선진화로 가는 길이다. 정치권은 국민들을 인식하고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진정한 정치권 쇄신을 성공적으로 바란다면 정당정치의 원칙인 당의 노선과 이념은 물론 확고한 정책과 비전을 제시 국민들로부터 날카로운 심판을 받아 국민들과 함께하는 쇄신만이 정치 선진화로 가는 성공적인 쇄신이 될 것이다.
정치권의 쇄신은 바람직하긴 하지만 국민들 눈에는 그렇게 곱지만은 않은 것 같다.
여야할 것 없이 소장파·신·구주류·중도·보수·진보 등 계파 속에서 쇄신과는 거리가 먼 힘겨루기의 정치권 싸움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정당의 경우 소장파들이 쇄신을 주도하는 것 처럼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나 뚜렷한 쇄신 정책과 노선 제시도 없이 총선 참패의 책임만 가지고 쇄신을 명분으로 당권 장악에만 급급한 나머지 소장파에서 당 대표 나와야 한다느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쇄신책에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질 사람은 아무도 없는 것처럼 당직자만 책임져야 하는지 아쉬운 부분이다.
당 소속 의원으로서 모두가 책임을 같이하는 자기반성의 여지는 찾아볼 수 없이 모두가 남의 탓으로만 돌리는 분위기 속에서 정치권의 획기적인 쇄신을 바랄 수 있을지 의심스럽기만 하다.
야권도 마찬가지다. 총선에서 일부 지역에 따라 승리한 것을 가지고 절대적인 대승으로 착각, 의회를 장악 입법독주를 서두르고 있는 것도 또한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경쟁적으로 후진되고 있는 정치권 쇄신은 정치권 정치 쇄신 없이는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란 점을 명심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