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이상 ‘해체’ 찬성
당 존립 기반 ‘경고등’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이 당의 정체성과 노선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보수 지지 기반인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조차 절반 이상이 부정 평가를 하면서, 당의 정체성 혼란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또 국민 절반 이상은 국민의힘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는 결과도 함께 나와, 당의 존립 기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천지일보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이 정체성과 노선을 잘 정립하고 있다’는 질문에 응답자의 80.9%가 부정적 평가했다. 이 중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60.5%에 달했다.
반면, 긍정 평가는 11.6%에 그쳤고, ‘모름’은 7.5%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80.2%, 여성의 81.6%가 각각 정체성 부재를 지적했다.
전 연령층에서도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18세~20대에서는 82.3%, 30대는 75.2%, 40대 84.0%, 50대 85.5%, 60대에선 86.6%가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70대 이상에서도 부정 응답이 69.7%에 달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81.4%), 경기·인천(82.4%), 대구·경북(85.2%), 부산·울산·경남(78.4%)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80% 안팎의 부정 평가가 나왔다. 특히 보수 텃밭인 TK(대구·경북) 지역조차도 부정 응답이 85%를 넘어 충격을 안겼다.
이념 성향에 따른 평가도 뚜렷했다.
민심의 풍향계인 중도층의 경우 87.0%가 “정체성과 노선을 잘 정립하지 못하다”며 부정평가 했다. 보수층에서도 74.3%가 부정적 의견을 내놨고, ‘긍정 평가’는 17.7%에 그쳤다.
정당별 국민의힘 지지층조차 69.4%가 부정 평가를 내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8.1%, 조국혁신당 82.5%, 진보당 77.7%, 개혁신당 89.7% 등 다른 정당 지지층도 80% 이상의 부정 응답을 보냈다.
또 국민 절반 이상이 국민의힘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는 결과도 나왔다.
단순한 비판을 넘어 보수 진영 내에서도 해체 요구가 일부 공감을 얻고 있다는 점에서 당의 존립 기반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평가다.
이 조사에서 ‘국민의힘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54.8%로 집계됐다.
반면. '반대한다'는 답변은 30.9%였다, ‘모름’은 14.3%다.
성별로 남성과 여성 모두 54.8%가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는 각각 32.9%, 28.9%였고 ‘모름’ 응답은 남성 12.3%, 여성 16.3%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59.3%), 40대(60.0%), 50대(60.4%), 60대(58.2%)는 찬성이 60% 안팎으로 높았다.
다만 70대 이상은 찬성 38.2%, 반대 35.4%, 모름 26.4%로 찬반이 팽팽했고, 유보층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역별로는 호남·제주 지역의 찬성 비율이 63.8%로 가장 높았다.
특히 서울(55.2%)·경기·인천(54.7%) 등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 지역(57.3%)도 찬성이 절반을 넘었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찬성 42.9%, 반대 40.1%로 찬반이 팽팽히 맞섰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 찬성 응답이 79.4%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중도층도 57.7%가 해체 주장에 공감했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반대가 53.0%로 찬성(32.7%)보다 많았지만, 찬성 비율 역시 적지 않다는 점에서 내부 균열 조짐이 감지된다.
정당별 민주당 지지층은 82.7%가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해체 주장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14.2%였고, 반대가 70.2%였다. ‘모름’ 응답은 15.6%다.
이번 조사는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휴대전화 RDD(무작위 생성)를 활용해 표본을 구성했다. 응답률은 2.3%,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