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겨울에도 식중독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도민들에게 식중독예방을 위한 생활수칙을 꼭 지켜 줄 것과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등 취약계층에 대하여 겨울철 식중독 원인 균인 노로바이러스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겨울철(12월~2월) 식중독 발생추이를 보면(전국) 최근 2년간(‘14∼’15), ‘14년도 46건에 739명, ’15년도 46건에 865명 발생했으며, 점차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말했다.
겨울철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노로바이러스는 일반세균과 달리 낮은 기온에서 활발하게 생장하고 적은 양으로도 발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오염된 채소, 과일 및 패류(굴 등) 및 지하수를 살균·세척이나 가열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할 경우 쉽게 감염될 수 있고 설명했다.
증상은 음식물 섭취 후 24~48시간이 지나서 구토·설사·복통 등과 같은 증상을 일으킨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탈수 증상 등에 유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굴, 조개 등 패류는 날것으로 섭취하지 말고 익혀먹고,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서 음용해야 하며, 음식물은 85℃에서 1분 이상 가열·조리해서 섭취해야 한다.
식중독 환자의 구토물이나 분변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킬 수 있으므로, 주로 실내에서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인 만큼 청소 등 위생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손은 반드시 비누를 사용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조리기구는 열탕 또는 염소 소독해야 한다.
경상북도 김종수 복지건강국장은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노약자가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 및 집단급식소에서는 음식물 취급자가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일으키는 경우 대형 식중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시설이나 집단급식소 관계자는 식품안전을 위한 예방활동에 전념해 줄 것과 식중독 사고발생 시 해당 시군에 신속히 신고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