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최근 7대 스마트 융복합사업 전략 육성 발표를 통해 예타 중인 탄소와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된 타이타늄을 연계한 첨단소재산업밸트를 조성한다는 내용의 탄타늄 산업을 탄소,타이타늄 등 소재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전자, 자동차,기계, 환경·에너지 등 전 산업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기술의 융·복합화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경북의 전통 주력산업과 소재사업과의 결합을 통해, 경북의 산업체질을 한층 더 업그레이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탄소산업은 ‘미래산업의 쌀’로 불리울 정도로 국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소재·부품산업에서 ‘메가트랜드’이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용도이외에 신규용도가 급속하게 창출되고 있어 적기 산업 진입과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략적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북도가 전북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탄소산업클러스터”는 탄소소재를 다양한 산업에 융·복합시켜 신산업을 창출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집중육성을 통해 국가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집약형 탄소산업 육성 기반 확보사업으로,
지난 2012년 19대 대선 지역공약사업으로 채택된 이후 2014년 10월에는 김관용 도지사가 직접, 기업체관계자와 함께 탄소섬유생산 세계 1위기업인 일본의 도레이 본사를 방문하여 투자 및 기술지원협력을 약속받는 등 사업추진에 공을 들여온 경북의 대표 미래먹거리사업이다.
2016~2020년 5년 동안, 총사업비 5,085억원을 투입, 구미 국가5산업단지내 66만㎡부지에 탄소산업융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구미에서 칠곡~대구~경산~영천~경주~포항에 걸친 탄소산업벨트를 연결하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탄소산업클러스터 예타사업이 2015년 4월 기재부 심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되고 조성사업이 점차 가시화되어감에 따라 경북도에서는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사전준비 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구축 예정인 상용화센터, 성형기술지원센터 등 인프라 및 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고, 일정 수준이상의 기업 집적 및 기업간 원활한 기술공유와 확산이 가능한 기반마련을 위해 기업의 클러스터 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까지(‘15.12) 경북 탄소산업 클러스터 참여의사를 밝힌 기업은 전국 194개 기업으로 이중 22개 기업이 2억원 이상(5년간)의 투자의향을 밝혀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
박성수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은 “경북 탄소산업클러스터조성사업의 성공여부는 결국 연관기업 참여 열기에 달려있다. 경북도에서는 새로운 산업의 패러다임을 열어갈 탄소소재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은 물론 기업들이 산업화 터전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의지를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