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잇따른 사고 안전불안 여전하다..
사회

잇따른 사고 안전불안 여전하다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7/21 19:58 수정 2014.07.21 19:58
사설

정종섭 신임 안전행정부 장관이 취임 첫 날부터 연이은 각종 사고와 자연재해가 발생해 호된 신고식을 치르고 있다.
 
취임첫날인 지난 17일 광주 도심에서 헬기 추락사고, 부산에선 지하철 화재사고가 잇달아 일어나는 등 세월호 이후 안전 최우선 정책을 추진중인 가운데 여전히 안전불안에 휩싸여 있다.

세월호특별법 제정 지연에 항의하는 유가족들의 단식농성이 이어지고 이번에는 세월호 현장 수색에 투입됐던 소방 헬기가 광주에서 추락해 탑승자 5명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까지 발생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어 부산에서 또 지하철 화재가 발생해 아수라장이 됐다.
 
헬기 사고로 조종사 등 탑승 소방관 5명이 숨졌고 부산에서는 퇴근길 시민 여러 명이 다쳤다.
 
세월호 침몰 참사의 뒷수습도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또 일어난 사고 소식에 국민의 불안감이 다시 커졌다.
 
광주 도심에서 추락한 소방헬기는 학교와 상가, 고층아파트가 밀집된 지역에 추락해 하마터면 시민이나 학생이 다수 희생될 뻔했다.
 
 헬기는 다름 아닌 진도 앞바다 세월호 참사 현장에 구조활동 지원을 위해 투입됐다가 강원도로 복귀하던 중이었다. 정확한 사고원인은 수거된 블랙박스의 기록을 분석해봐야 알겠지만, 기체의 기계적 결함이나 고장 탓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헬기 추락을 목격한 시민들은 “조종사가 대형 참사를 막기 위해 끝까지 조정기를 놓지 않은 것 같다.”고 말해 안타까움을 더했다.
 
부산에서는 부산지하철 1호선 노포행 전동차가 시청역으로 들어가던 중 4호차 지붕 냉방장치에서 스파크와 함께 불이 났다.

전동차가 시청역에 멈춘 뒤 승객 400여 명이 황급히 대피하다가 서로 부딪혀 넘어지거나 연기를 들이마셔 부상자가 다수 발생했다.
 
사고발생 지점을 두고 경찰은 시청역, 소방본부는 양정역이라고 엇갈리는 등 초동 대응에 허점을 드러냈다. 전문기술자 투입에도 많은 시간이 걸렸다. 사고수습을 책임져야 할 정부는 여전히 우왕좌왕이다.‘안전’이란 이름을 걸고 얼마나 말도 안되는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지 모른다.
 
광역버스 입석금지가 대표적이다. 촘촘한 대비책도 없이 밀어붙인 결과가 지금의 출퇴근길 대혼란이다.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며 그 불편은 고스란히 국민들 몫이다.
 
수학여행 안전지도사 동행 방침도 현실성 제로였다. 현장에 나와 보지도 않고 정책을 급조한 결과들이다. 이번 사고로 우리가 언제, 어디서 무슨 사고를 당할지 모르는 불안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셈이다.

이번 두 곳의 사고에 대해서도 철저한 원인규명과 문책을 하는 것이 재발방지의 요체다. 또한 세월호 참사 후 정부가 시동을 건 안전확보 중심 국가혁신 작업에 채찍을 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