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세월호 특별법 빨리 매듭 지어라..
사회

세월호 특별법 빨리 매듭 지어라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7/22 20:41 수정 2014.07.22 20:41
사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내일이면 100일을 맞는다.
 
하지만 아직도 진도 앞바다에는 10명의 실종자가 바다속에 갇혀 시신조차 수습하지 못한 상태다. 
 
 수색 작업이 하루빨리 성과를 거둬 가족들에게 한 가닥 위로라도 돼주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세월호 참사 100일을 코앞에 두고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은 여전하다.
 
희생자 유가족은 물론 온 국민의 바람과 희망에 부응하지 못하는 행보를 계속하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조속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자 국회 앞에서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고 급기야 야당 여성의원 3명이 희생자 가족의 단식 농성 중단을 호소하며 대신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고 한다.
 
그러자 보수단체인 이른바 엄마부대 봉사단 회원들은 지난 1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마련된‘세월호 가족 단식농성장’앞에서 유가족을 비난하며 항의성 시위를 열었다.

이들은“세월호 희생자들이 유공자도 아닌데 의사자 지정이나 대학 특례는 안된다”며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어버이연합 회원 30여명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유가족들을 비난하며 단식농성장에 난입하려다 경찰의 제지로 무산되기도 했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갈등과 분열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세월호 찹사로 어린 학생들이 희생된 것은 보수와 진보의 이념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다.

자식들을 잃은 슬픔을 억누르며 진상 규명과 재발방지를 요구하는 유족들에게 슬픔을 나누고 아픔을 함께 하는 공감을 표시하지는 못하더라도 유족들의 아픔을 비난 하는 행동은 삼가야 할 것이다.

정치권도 더이상 특별법 문제로 귀중한 시간을 소모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핵심 쟁점들에 대한 이견을 좁히려는 대화에 진지하게 임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로 찢긴 국민의 마음을 보듬고, 희생자 가족의 상처를 치유하려면 진상 규명이 올바로 이뤄져야 하고, 그러려면 무엇이 정말 필요한지를 궁리하고 천착하면 될 일이다.

여야 정치권은 더 이상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놓고 신경전을 펴지말고 하루빨리 특별법 제정을 매듭짓기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