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세월호 진상규명 어떻게 되나..
사회

세월호 진상규명 어떻게 되나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8/05 20:24 수정 2014.08.05 20:24
사설

새누리당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등의 출석을 끝까지 반대하면서 세월호 관련 여야 협상이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

지난 4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세월호 국정조사 청문회도 무산됐다.
세월호 특별법도 유야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특별법의 핵심 사항인 진상조사위에 수사권 부여와 관련해 야당은 특별검사 수용으로 입장을 바꿨지만 새누리당은 이마저도 특검 추천권 문제를 제기하며 부정적 기류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것은 새누리당의 세월호 관련 입장이 7·30 재보궐선거 이전과 이후로 확실히 바뀌었다는 점이다.

김무성 대표는 선거 지원 유세에서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다시는 이런 비극이 없도록 당과 정부에서 철저한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들을 엄벌하겠다고 강조했지만 그 때 뿐이었다.

선거 하루 뒤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는 이완구 원내대표의 특검 발언 이후 의원들의 강경 발언이 봇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재보궐 선거 승리로 세월호 문제는 심판을 받았다고 생각하는것 같다. 그러나 선거가 끝나고 발표된 여론 조사 결과는 검찰과 경찰의 세월호 수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응답이 66%였다.
 
국민 여론은 정부의 무능과 부실이 만들어 낸 인재인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철저하게 밝혀 달라는 것이다.

재보궐 선거 승리로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을 덮겠다는 것은 국민을 얕잡아 보는 것이나 다름 없다.

박근혜대통령이 세월호 이전과 이후가 달라져야 한다는 발언은 무의미해진 것이나 마찬가지가 됐다.
 
정부여당이 잘잘못을 철저히 가리고 책임자를 처벌하려는 의지가 실종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세월호 가족대표들은 22일째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고, 4일 기자회견에서 가족들이 원하는 것은 배상이나 보상이 아니라 진상 규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은 외면하거나 덮는다고 해서 끝날 일이 아니며 정부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