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내수 시장에 의존해온 중소·중견기업 1만개를 2017년까지 수출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부는 지난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수출 저변 확충을 위한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촉진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대책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놓은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육성’방안이다. 지난해 기준 9만개인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2017년까지 1만개 더 늘려 수출기업화 지원과정을 통해 10만개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내수에 머물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수출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 소상공인도 쉽게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릴 수 있는 전자상거래 수출을 활성화하기로 했다”고 기본 방향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우선 제품 경쟁력은 우수하지만 수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애로로 인해 내수에 머물러 있는 기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한다.
현재 수출이 일부 지역에만 국한된 기업이 3만3000곳, 각종 애로점 때문에 수출을 중단한 기업이 2만4000곳이나 되는데, 이들을 적극 발굴하겠다는 것이다.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늘어나면 체감경기가 개선되고 일자리 창출은 물론 해당 기업과 우리 경제의 성장에도 큰 보탬이 된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고용증가율은 내수기업의 3.8배(33.3%), 1인당 매출액은 2.3배(10억4,000만원)나 된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지난해 8만9,932개로 4년 전보다 1만700여개 늘어나고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2년(32.1%) 이후 상승세를 타고 있는 점도 희망적이다.
다만 정부의 수출중기 양성과 병행해 각 기업도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품질경쟁력 확보에 전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정부와 맞춤형 컨설팅 제공 기관들이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