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수사" 촉구…특검 실시엔 사실상 '선 긋기'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대한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리스트에 적힌 대부분의 이름이 친박계 핵심이란 점에서 친박계 의원들 모두가 정치적 부담을 안고 있는 가운데, 최대한 몸을 낮춘 채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강조하는 비박(비박근혜)계 당 지도부 입장에 동조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특별검사제(특검) 실시에 대해선 현재 검찰이 철저히 수사하고 있다며 사실상 선을 긋고 있어, 이날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모두가 특검 실시에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과는 다른 입장을 나타냈다.
윤상현 의원은 13일 오전 국회에서 친박 의원들의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에 참석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관해 "당연히 철저한 수사를 통해 성역 없이 가려내야 한다"고 밝혔다.
안홍준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제활성화 법안 처리 등 국정에 매진해야 할 시점에 정치권이 의혹을 받고 있다. 리스트 때문에 국정 운영이 흔들려선 안 될 것"이라며 "한 점의 의혹도 남기지 않도록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앞서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이 엄정한 수사와 대응을 해달라고 말했고, 김무성 대표도 어제 기자회견에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며 "검찰이 이렇게 하는 것만이 이 사건을 해결하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정현 최고위원도 "고인의 억울함이 있다면 그 억울함을 풀기 위해 한편으로는 이 기회에 우리 정치의 관행적인 부패를 뿌리뽑기 위해서도 모든 국민들이 납득할 때까지 정치자금 수사가 진행돼야 한다"며 "부정부패 문제는 끝까지 간다는 전통을 확실히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친박계 의원들은 성완종 파문에 대한 특검 실시에 대해선, 검찰 수사가 먼저라며 사실상 선을 그었다.
노철래 의원은 "검찰에서 지금 (수사를) 시작하고 진용도 짜놨지 않나. 그게 결과가 나오고 나서 할 일이지 지금부터 특검 이야기가 나오면 수사 방향이 흐려진다"며 "그래서 (특검은) 지금 거론할 시기가 아니다. 하지 말자는 게 아니고 거론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주영 의원도 "내가 뭘 말하겠나"라고 말을 아끼면서도 "지금 현재 (검찰이) 철저히 수사한다. 검찰에서 이제 특별수사(팀을) 꾸려 시작했는데…"라며 특검에 대한 논의는 이르다는 뜻을 표했다.
윤 의원 역시 특검에 대해선 "김무성 대표가 어제 말씀 하셨으니, 당에서 다 알아서 할 것"이라고 말을 아끼면서, 야당이 리스트에 오른 당사자들 모두 직을 내려놓고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그건 아닌 것 같다"고 일축했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 일각에선 고 성 전 회장의 폭로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도 나왔다.
노 의원은 "본인이 한달여 동안 수사 받으면서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었던 것을 마지막 상황을 택하며 메시지를 던지고 갔다는 건 뭔가 좀 석연찮은 점이 있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명명백백하게 본인이 극한의 길을 택하지 말고 당당하게 해명도 하고 사실 관계를 규명할 수도 있었는데 그냥 던져놓고 가니 이후 벌어지는 것만 일파만파, 엄청난 혼란을 주고 있는데 그게 과연 정당한 방법이냐"면서 "그게 한때 정치를 했던 사람으로서 양식이냐 하는 것도 그렇고 기업하는 사람으로서도 기업계 전반에 던지는 메시지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노 의원은 그러면서 리스트 대부분이 친박계 인사인 것에 관해 "친박계라고 하는 사람들이 요소요소에 핵심으로 있으니 본인이 구명을 (요청)했다고 하면 그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이지, 비박이나 한 발 떨어져있는 사람들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면서 "그래서 대부분을 거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