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총리 자진사퇴 목소리 확산... 일부 의원들 지도부 압박도
15일 오전 이완구 국무총리가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로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인한 이완구 국무총리 자진 사퇴론이 여권 내에서도 분출하고 있다. 여당은 당초 일단 검찰수사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였으나 중진을 포함한 적잖은 의원들은 최근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점을 우려하며 이 총리의 사퇴 압박강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야당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이 총리의 거취 문제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여러 의원들은 이 총리가 자진 사퇴하지 않으면 당이 나서서 결정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를 압박까지 하고 있다.
친이(친 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총리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이어 새누리당을 향해 "(리스트에 오른) 본인들이 거취를 결정하지 않으면 당이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에 지도부도 결연한 의지를 갖고 있으니 본인들이 거취를 결정하지 않으면 당이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그래서 새누리당이 큰 일을 겪어서 달라졌구나 하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내일(16일) 대통령이 외국에 가는데 대통령이 없는 동안 직무 대행자가 있어야 한다. 총리가 부패 문제로 수사를 받느냐 마느냐 하는데 그 총리가 대통령 직무 대행을 할 수 있겠냐"며 "총리는 사실 여부를 떠나, 정치적으로 국정에 막중한 책임이 있다고 한다면 총리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럴 때를 대비해 부총리를 두 명이나 두지 않았나. 부총리가 총리 대행을 하면 된다"면서 "대통령이 외국에 가기 전에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도 이날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100만 공무원의 최고수장으로서 본인이 진퇴에 대한 결심을 내려야 된다"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공직의 최정점에 있는 분이 이런 상태에서는 공직이 움직일 수 없다"면서 "그 도덕성과 실제 공직의 여러 작동원리로 봐서 작동 불능 상태로 갔다고 본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용태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총리는 명백한 진실규명을 위해 국무총리직을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검찰이 진실을 밝힐 수 있도록 이 총리가 결단해주길 바란다"며 "작금의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검찰이 관련 의혹을 파헤쳐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은 검찰이 완벽한 독립조사를 할 수 있도록 대통령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의 직무를 정지시켜야 한다"며 "믿음이 없는 곳에는 아무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기자회견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당에 같은 뜻을 가진 의원들이 있느냐'는 질문에 "아시다시피 술렁술렁 얘기는 다 하고 있다. 약간의 의견차가 있을 뿐"이라며 "대체적으로 이 총리가 본인과 새누리당, 박근혜 정부를 위해서라도 거취 문제를 빨리 정리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라고 전했다.
한편 새누리당이 전날 개최한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도 이 총리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이 총리와 관련, "국정의 막중한 책임을 지는 자리인 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며 "야당이 총리와 비서실장에게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고 정치 공세를 펼치고 있는데 이번 파문이 정쟁으로 가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