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민에 진 빚 함께 갚자" 대국민 호..
정치

"국민에 진 빚 함께 갚자" 대국민 호소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4/23 18:06 수정 2015.04.23 18:06
김무성, 여야 4자 회담 다시 제안...여 의원 80여명 결의대회



공무원연금개혁 처리 촉구 결의대회가 열린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계단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야당에 연금 개혁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낭독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3일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 "참여정부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완수하지 못하고 국민에게 진 빚 우리 둘이 함께 갚자"고 호소했다.
김 대표는 이날 새누리당 전체 157명 의원의 명단으로 '공무원연금 개혁 대국민 호소문'을 내고 "이번에 하지 못하면 지금부터 5년 후, 10년 후 우리 공무원들이 더 가혹한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들이 이번에는 공무원연금 개혁이 꼭 될 것이라고 큰 기대를 갖고 기다려줬다"며 "특위가 약속한 5월2일의 시한을 9일 남겨놓은 지금까지도 공무원연금 개혁이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데 대해 여당 대표로서 죄송한 마음을 금할 수 없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공무원연금 적자를 메우기 위해 한해에 쏟아붓는 국민 세금이 올해 3조, 내년에 3조7000억원이 된다"며 "올해는 매일 80억, 내년에는 매일 100억의 국민세금이 적자를 메우는 데 들어가야만 한다"고 짚었다.
김 대표는 "그 동안 여러번 기회가 있었는데도 역대 정부는 근본적인 개혁을 미룬 채 곪은 상처를 키워왔다"며 "번번이 좌절됐던 공무원연금 개혁을 이번에 마무리짓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함께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이해당사자는 바로 국민"이라며 "이제는 국민의 대변자인 국회가 나서야 할 때가 됐다. 국민과 약속한 5월2일까지 공무원연금 개혁 문제를 책임질 때가 왔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국민대타협기구는 지난 3월28일부터 90일간 활동했지만 공무원단체는 결국 개혁안을 제출하지 않았고, 새정치연합은 아직도 α, β, γ가 어떤 숫자인지 밝히지 않고 있다"며 "어제까지 실무기구가 열렸지만 합의점을 찾을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와 새정치연합 지도부에 대해 "공무원연금 개혁의 마침표를 찍기 위해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간 4자 회담을 다시 한 번 제안한다"며 "용기있는 결단, 용기있는 행동으로 나와주길 기대한다. 지금 이순간도 문 대표의 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김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의원 80여명은 이날 국회 본관 앞에서 공무원연금 개혁 처리 촉구 결의대회를 갖고 문 대표 등 새정치연합 지도부를 압박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공무원연금 개혁 처리 촉구 결의문'을 통해 새정치연합과 문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 처리 시한을 준수하고 약속을 실천하라고 촉구했다.
의원들은 모두 '공무원연금, 약속대로 5월 2일까지입니다. 문재인 대표는 약속을 지켜주십시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었다.
김 대표는 이날 결의대회에서 대국민 호소문을 낭독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시점에서 국가적으로 제일 중요한 문제는 성완종 사건도 아니고 보궐선거도 아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우리 미래 세대에게 빚을 넘겨주지 않아야 한다는 공무원연금 개혁"이라며 "이 시기를 놓치면 우리 미래는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야당에서 복지 수준을 올리자고 주장하면서 가장 중요한 공무원연금 개혁을 자꾸 뒤로 미루는 것은 정말 옳지 못한 일이고 자가당착적 발언"이라며 "우리 국회가 모두 이것을 주도해야 한다. 여야를 떠나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앞서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야당은 입만 열면 복지 수준을 높이자고 하면서 향후 10년간 55조원의 국가 재정을 축낼 공무원연금을 처리하지 말자고 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 이중적 행동"이라고 비판하며 "이런 문제는 국민들께서 이제 심판해주셔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의총 직후 결의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의총장을 나서면서 우연히 마주친 새정치연합 강기정 의원과 짧은 대화를 나누면서 협조를 요청했다.
강 의원은 "데모하러 가시냐"고 웃으며 물은 뒤 "우리는 열심히 하는데 왜 자꾸 우리를 매국 집단으로…. 잘 해낼테니 정치적으로 자꾸 이러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이에 김 대표는 "허허. (대국민 호소문에) 과격한 문구는 안 넣었다"며 "계속 (강 의원을) 존경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