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성완종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사과를 할 것인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 내에서도 대국민사과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다.
새누리당 내에선, 불과 이틀 앞으로 다가온 4·29 재보궐선거는 차치하고라도 내년으로 다가온 총선도 염두에 둬야 하는데다, 공무원연금 개혁 등 산적한 국정 현안이 동력을 받기 위해선 박 대통령의 사과가 우선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들은 대통령의 진지한 목소리를 듣길 원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진솔할 말을 직접 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도 전날 "검찰 수사의 진행과정 중 어떤 형태로든 대통령의 사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 측은 "원론적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지만, 청와대와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김 대표는 27일에도 기자들과 만나 "이런 엄청난 사건이 있었는데 어떤 형태로든지 국민들에게 입장을 밝히는게 도리"라고 말했다.
이진복 전략기획본부장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어느 정권이든지 사과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것이 정권의 유·불리를 떠나서 국민에게 하는 소리이지 정치권에 하는 소리는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재선인 김영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초·재선 의원들의 모임 '아침소리'에 참석해 "앞으로 험난한 국정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우리가 정치개혁을 제대로 하려면 어떤 비전을 갖고 정치개혁을 해야 할 것인지, 지금 일어나는 정치권의 여러 의혹, 성완종 파문과 관련해 대통령의 입장, 대국민 사과도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금 산적한 문제들이 있다. 총리 인선, 국정 운영, 정치 개혁, 공무원연금 개혁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상황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대국민 설명이 좀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아침소리 대변인인 하태경 의원에 따르면 이날 오전 있었던 아침소리 비공개 회의에서 초·재선 의원들 모두는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 어느 정도의 '사과'의 필요성에 대해선 모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사과하는 내용이 문제라는 것이다.
하 의원은 통화에서 "사과하는 맥락이, 측근들이 돈을 받았다는 것을 시인하기엔 이르다"면서 "총리가 낙마하고 시끄러운 상황이 만들어진 데 대해 송구스럽다는 식의 사과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박 대통령의 대국민사과에 대해 "지금은 아니다"라는 의견도 나온다. 검찰 수사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섣불리 대응했다가 차후 대응책 모색이 어려워질 거란 이유에서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사과를 하긴 해야 하지만 바로 그렇게 할 수 있나. 대통령이 귀국해서 보고를 받아보고 국민들에게 사과를 하는 게 좋겠다 판단하면 하지 않겠나"라면서 "편찮다는데 순방 직후 바로 이렇게 사과를 촉구하고 하는 건 예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