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적정 처리를 유도해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기여하고자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확충에 나선다.
경북의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은 현재 13개 시·군 15개소(1,550톤/일)가 운영 중에 있으며, 총사업비 1,529억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7개소(800톤/일)를 추가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구미, 영주, 봉화 3개소(360톤/일)가 준공을 앞두고 있다.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의 처리방법은 주로 정화처리 또는 퇴·액비화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가축분뇨, 음식물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통합 처리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에너지화 정책으로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 영천, 울진 2개소가 가축분뇨를 혐기성 소화 후 바이오가스를 얻어 에너지화하는 바이오가스화로 운영 중이며,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통해 연간 8,248MW(2019년 기준)의 전기를 생산중이다.
또한, 신․증설 중인 7개소 중 군위, 성주 2개소도 가축분뇨, 음식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화 할 예정이다.
특히, 성주군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증설사업은 2019년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총사업비 440억원을 투입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계획이며, 에너지화를 통한 가스 판매 등으로 운영비 절감 및 신재생에너지 확충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환경산림자원국장은 “경북도는 전국에서 한우생산량은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고, 돼지(3위), 가금류(3위) 등 전국 최대의 축산업 중심지로서 가축분뇨 발생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환경부담 또한 가중되고 있다”며 “경북도에서는 이에 발맞춰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도민의 생활환경개선 및 환경보전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