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역 폐기물매립장 증설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오천 주민 5천여명이 포항시에 반대 의견서를 제출한데 이어 경북도의회에서도 철회를 촉구하는 의견이 제기됐으며,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대 대책위도 결성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소속 이재도 의원은 23일 제320회 경북도의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포항철강공단 내 산업폐기물 매립시설 증설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포항시 오천읍 주민들은 지난 20여년간 SRF열병합발전소와 2곳의 매립장까지, 반경 2km내에 3곳의 산업폐기물 처리시설을 머리에 이고 살아왔으며, 최근 매립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포항철강공단 내 업체들의 경영여건 악화를 명분으로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한 채 무리하게 산업폐기물 매립시설의 증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에코시스템은 2012년 2월부터 포항철강산업단지 내 매립장에 모두 228만㎥을 매립해 1천700여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1천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거두었다는 것.
이에 따라 대주주인 태영건설은 이에 따른 배당금으로 50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려 고스란히 역외로 유출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회사는 포항지역 폐기물 처리의 필요성만 강조하면서 2006년 사업허가 시 319만㎥이던 폐기물 매립시설을 366만㎥로의 증설을 신청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공단 내 다른 폐기물 처리업체인 ㈜네이처이앤티는 매립장 사후관리에 들어간 폐기물들의 안정화를 위해 ‘옥명공원 폐기물 매립장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현재 493만㎥ 규모의 매립장을 873만㎥로 확장하는 대규모 증설 계획을 수립했다는 것.
포항지역 내 발생폐기물의 원활한 처리를 통해 지역경기를 활성화하고 공단 내 업체의 처리비용 부담을 줄인다는 폐기물업체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다.
2013년 톤당 55,000원이던 산업폐기물 매립단가는 불과 6년이 지난 2019년에 20만원으로 4배나 올랐으며, 매립장이 증설되면 이들 업체는 엄청난 추가적 수익을 올리게 될 것이다.
지역 내에서 발생한 산업폐기물 처리에 기여한다는 주장도 근거가 없기는 마찬가지라는 지적이다.
㈜에코시스템의 경우 2018년 전체 폐기물 매립량 13만5천262㎥ 중 타 지역 반입량은 68%인 9만1천676㎥에 달했으며, 포항지역 발생 폐기물 반입량은 32%인 4만3천586㎥에 불과했다는 것.
이 의원은 “㈜네이쳐이엔티 840만톤, ㈜에코시스템 70만톤 등 총 910만톤 규모의 매립공간이 추가로 들어서게 되면, 포항지역은 타 시도를 위한 산업폐기물 처리장이 된다”며, “주민의 생존권을 보장하고 재산권 침해를 막기 위해 신규 매립장 조성과 같은 근본적인 산업폐기물 처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포항시 남구 오천읍 주민 5,155명은 19일 포항시청에 네이처이앤티 옥명공원 산업폐기물 매립시설 증설을 반대하는 주민의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포항시 남구 오천읍, 대송면, 제철동, 청림동은 온갖 폐기물처리장으로 병풍을 치고 있으며, 33,8m 호동쓰레기소각장 SRF 시설도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데 두 업체가 그동안 주민과의 약속을 어기고 지정.산업폐기물 증설 사업안을 내놓았다”며, “포항시와 대구환경청은 네이쳐이앤티와 에코시스템의 지정.산업폐기물 매립장 증설을 절대 불허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오천읍이장협의회, 오천.제철동.청림동SRF대책위원회, 포항시농민회, 포항환경운동연합 등은 25일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옥명공원폐기물매립장반대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