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결국은… 포항 오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
경북

결국은… 포항 오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0/12/08 19:22 수정 2020.12.09 08:55
- 수년간 SRF 가동중단 시위, 최근엔 폐기물매립장 증설 반대민원 등...
포항시 남구 오천읍의 SRF.
포항시 남구 오천읍의 SRF.

포항 오천주민들이 지역의 SRF(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과 관련해 환경오염의 원인이라고 가동중단 시위 등을 수년간 벌여온 가운데, 결국 해당 지역이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됐다.

오천은 경북 포항시 남구의 신 주거지역으로 발전 중인데, 철강공단 인근이고 특히 지역에는 SRF시설이 건설되면서 환경오염 논란까지 일어 주민들이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큰 상황이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17개 시도와 함께 전국의 36곳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미세먼지 취약계층을 위한 각종 생활밀착형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주변에 사업장이나 차량과 같은 미세먼지 배출원이 많으면서도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노인복지시설, 병원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 이용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대상으로 시도지사나 시장·군수·구청장이 환경부와 협의를 거쳐 지정한다.

환경부는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대상으로 내년에 신규로 맞춤형 사업 추진을 위한 별도의 국비(총 30억 원)를 비롯해 기존의 미세먼지 대책사업의 예산도 최우선적으로 지원한다.

집중관리구역은 올해 1월 서울 금천·영등포·동작구 3곳이 처음으로 지정된 이후 이달 초에 부산 금정·동래·서구 3곳까지 지정됨에 따라 17개 시도마다 1곳 이상 지정이 완료됐고 전국적으로 총 36곳이 지정됐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되면 취약계층 및 주변지역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지원사업이 집중적으로 추진된다.

미세먼지 고농도의 외부 공기가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바로 들어오는 것을 줄이기 위해 출입구에 공기차단막(에어커튼)을 설치하고 실내환기 강화를 위한 공기정화장치도 지원한다.

또한,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미세먼지 측정기기,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 등 취약계층의 눈높이에 맞춘 미세먼지 농도 정보의 제공도 확대한다.

환경부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집중관리구역 내와 주변의 도로에 살수차와 진공청소차 투입을 확대하고 사업장이나 매연차량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아울러 친환경 보일러 교체, 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개선 등 기존의 각종 미세먼지 저감사업도 다른 지역에 앞서 지원한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이 '미세먼지 안심지역'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천주민들은 지난해까지 SRF시설의 가동중단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으며, 최근에는 인근에 폐기물매립장 증설 계획이 알려지면서 포항시청에 이를 반대하는 주민 5천여명의 의견서를 전달한 바 있다.

김재원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