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4일 황교안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여당은 인사청문회에서 황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한 반면, 야당은 황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을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권은희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오늘부터 황교안 신임국무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준비한다고 한다"며 "황교안 후보자는 법무부 장관 임명 당시 인사청문회를 거친 만큼 검증된 후보자이나, 이번 청문회도 성실한 자세로 준비를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은 총리 후보자의 국정운영 능력과 도덕성에 대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꼼꼼히 검증할 것"이라며 "야당은 정치 공세성 청문회를 지양하고, 청문회 본연의 취지를 살려 자질과 능력검증에 집중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부장검사 2명을 청문회 지원팀에 파견한다는 법무부의 계획에 대해 "전직 법무부장관과 국무총리 후보는 엄연히 다른데, 이것도 전관예우인가"라며 "명백한 권한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황 후보자에 대해 "법무부장관 시절 국정원 대선개입사건 수사에 개입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의 선거법 위반 혐의 기소에 반대하는 등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고, 채동욱 검찰총장의 혼외자 논란에 대해 감찰을 지시해 독립성을 침해하는 등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6억원의 수임료에 달하는 전관예우 의혹, 아파트 투기와 편법 증여 의혹, 병역기피 의혹 등을 받고 있는 황 후보자가 어떻게 어려운 민생을 돌볼지 의아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박근혜 정부의 연이은 총리 인사 실패와 관련해 '총리 잔혹사'라는 말까지 생겨났는데, 이번에도 역시 자격이 없는 후보자를 임명했다는 것은 박 대통령이 민생과 경제를 포기하고, 화합이 아닌 분열을 선택했다는 뜻"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황교안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을 국민의 눈높이에서 철저하게 검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