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 시내버스 노선개편 결과가 기대에 못미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50억원이나 들여 전기버스까지 도입했지만 코로나19로 승객이 대폭 감소해 적자폭이 커지면서 시 보조금도 300억원 가까이로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문제는 외곽지(읍.면) 주민편의를 위해 마을버스도 전기차로 도입하며 운전직도 100여명이나 늘어나 향후 적자폭은 더 커질 상황이어서 시민의 세금은 보조금으로 더 쏟아부어야할 실정이다보니 시내버스 운영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 포항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승객이 감소해 버스 운영 적자가 심각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시민 부담을 고려해 버스 요금을 동결하기로 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포항시의 버스요금 인상은 2016년 1,200원에서 1,300원으로 100원이 인상(일반요금 기준)된 후 지금까지 동결됐다.
그러나 포항지역 버스 이용인원은 2019년 대비 2400만여 명에서 지난해 1700만여 명으로 30% 급감했고 버스 운송수입도 80억 7천여만 원 급감했다.
시는 “이처럼 운송수입이 감소해 버스회사 운영적자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시민들의 경제사정이 더욱 어려운 만큼 당분간 요금인상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다만, 코로나19가 안정되는 상황을 지켜보며 인상 금액과 시기를 재검토 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그런데 6월 1일부터는 일반버스 요금과 좌석버스 요금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버스요금 체계에서 좌석버스 요금제를 폐지하고 일반버스와 동일한 단일요금제로 시행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좌석버스 요금 1,700원을 내던 외곽(읍․면)지역 주민의 요금부담은 일반버스 요금인 1,300원으로 줄어들고 시내지역 버스 이용 접근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시민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요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고 했지만 코로나19가 안정되는 상황을 지켜보며 인상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까지 하고선 좌석요금제를 폐지해 사실상 외곽(읍.면)지역은 요금을 인하시켜 선심성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포항시 측은 “그동안 외곽(읍․면)지역 시민들이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으로 버스를 이용했는데 요금이 시내버스 수준으로 인하되는 만큼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입장이지만, “그러면 2016년 요금조정 당시 했어야 했다”는 지적이며 내년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업체의 적자폭이 커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버스요금을 낮추는 것은 주민들을 상대로한 기부행위가 아니냐“는 문제까지 제기된다.
더구나 지난해 150억원이나 들여 전기버스 63대를 도입하고 이를 위해 운전직 100여명이 추가 늘어 시 보조금도 300억원 가까이로 크게 늘어 해마다 늘어나는 시민부담은 누가 책임질지, 시내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자가용 이용 시민들의 시내버스 보조금 부담문제 등은 어떻게 할지 등 포항시의 시내버스 운영문제는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우려 목소리이다.김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