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와 경북도가 일명 ‘영일만대교’인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국비마련에 나선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영일만대교 노선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어서 포항시와 논란을 빚고 있다.
이는 해군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피폭시 작전이 불가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며, 이로인해 “포항시가 먼저 해군과 협의를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반면, 포항시는 해군과 여러 차례 협의했고 해군도 대교 건설에 협조적이며, 이를 위해 부대 이전에도 적극적이라며 국토교통부가 노선을 확정해 추진하면 가능하지 않느냐는 입장이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김정재(국민의힘, 포항북), 김병욱(무소속, 포항남.울릉) 국회의원 등은 지난해 11월 영일만 앞바다에서 대교 건설을 기원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어 김성조 포항시의원은 지난해 12월 5분 자유발언에서 영일만대교 관련 문제를 지적했다.
김 의원은 “영일만대교, 끊어진 동해안의 맥(脈)을 잇는 역사로 영일만대교 건설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며,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호소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서해안, 남해안 등 전국 해상교는 35개소(인천 7개, 부산 5개, 경남 5개, 경기 5개, 전남 4개, 기타 9개소)가 있는데, 신북방경제 시대에 환동해권의 경제, 물류, 관광산업을 주도할 영일만 횡단대교는 동해안 바다를 낀 지역 중 유일하게 해상대교 없는 580만 동해안 지역의 오랜 숙원사업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영일만 횡단대교는 동해안 고속도로(AH6) 구간에 포함되는 건설사업으로 신북방정책 교두보 확보 및 평화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광역 교통망이며, 지난 국토부는 U자형 국토균형개발 추진이 꼭 필요한 국책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둘째, 서해안고속도로(서울~전남, 340㎞, 2001년 완공), 남해고속도로(전남~부산, 273.1㎞, 1973년 완공)는 이미 완공되었지만 동해안고속도로(부산~간성, 406.1㎞)만 단절된 상태로 지역간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셋째, 무엇보다 국가정책사업 중 발생된 포항지진(2017년11월15일)에 의해 침체된 지역경제의 반등을 위해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 대형 SOC 사업이라는 것.
넷째, 현재 고속도로 대용으로 활용중인 국도31호선 교통량 분석결과 장래 2027년의 경우 서비스 수준 F등급으로 초과상태로 예상되어 국도31호선 교통대란의 근원적 해결책으로 영일만 횡단대교는 조속히 건설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올해들어 경북도는 하대성 경제부지사가 지난 19일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주재한 국토교통예산협의회 영상회의에 참석,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환동해권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핵심 도로망”이라며, 사업비 변경을 통한 조속한 추진을 요청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영일만대교 노선은) 영일만 안쪽에 있는 해군이 반대하고 있어 노선 확정은 안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로인해 “포항시가 먼저 해군과 협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포항시가 조속히 해군과 협의를 마무리 지어야 사업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포항시 관계자는 "해군과 여러 차례 협의를 했고 해군도 대교 건설에 협조하기 위해 기존 포항신항보다는 바깥쪽인 영일만항 쪽으로 이전하는 것에 긍정적인 입장"이라며, "국토부가 대교 노선을 확정하고 국방부나 관련 기관과 협조해 추진하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