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북도,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해법 찾는다..
경북

경북도,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해법 찾는다

이종팔 기자 jebo24@naver.com 입력 2021/08/08 16:21 수정 2021.08.08 16:21
이철우 도지사, 전문가들과 논의

경북도는 지난 6일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참여기업 및 관련 전문가 등과 함께 ‘경북 산업용 헴프(HEMP) 규제자유특구’추진상황 점검 및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올해 4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헴프 재배와 관리 실증의 진행상황 및 재배된 헴프를 통한 원료의약품 제조·수출 실증착수 준비사항 점검에 이어 헴프 산업화를 위한 법개정 추진 방향과 헴프 연계사업 발굴 및 대마활용 지역식품 특화방안 등 한국형 헴프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헴프 규제자유특구가 나가야할 방향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헴프 규제자유특구는 안전성을 담보로 헴프의 산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1세부)산업용 헴프 재배 ▲(2세부)원료의약품 제조‧수출 ▲(3세부)산업용 헴프 관리 실증의 3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그 간 헴프는 마약으로 분류돼 있어 엄격한 관리 아래 허가받은 자에 한해 농업용, 학술연구용 등 일부 분야에서만 허용되어 산업용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에 경북도는 마약류관리법에서 금지하고 있던 헴프를 재배하고, 의약품 원료가 되는 CBD(cannabidiol)를 추출해서 의료용 목적으로 합법화된 국가에 의약품 원료를 수출하는산업용 헴프 특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경북도는 사업 추진을 위해 CBC 추출 목적으로 헴프를 재배, 사용할 수 없는 헴프 잎, 미수정 암꽃을 의료목적 제품으로 제조·수출, 헴프의 보관·운반 등 관리 행위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실증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히고, 이번 실증으로 그동안 엄격히 제한되던 대마로 한국형 헴프 산업화를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향후 법 개정으로 이어진다면 국내 CBD 산업화에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다.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