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시군별·단위유역별 목표수질 확정..
경북

시군별·단위유역별 목표수질 확정

이종팔 기자 jebo24@naver.com 입력 2021/08/10 17:17 수정 2021.08.10 17:17
경북도 수질오염총량관리

경북도는 지난달 15일‘제4단계 낙동강수계 경북도 수질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이하 4단계 기본계획)’수립에 따라 관할 23개 단위유역별로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와 T-P(Total Phosphorus, 총인) 목표수질을 10일 공고했다.
경북도는 2030년까지의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해 올해 6월말 환경부에서 승인한 이번 목표수질을 4단계 기본계획에 반영했으며, 이번 목표 수질을 준수할 경우 경북도에서는 2030년까지 지역개발량 5t/일을 확보함으로써 구미5공단 약 50개 정도를 신규로 조성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주요지점으로는 2030년까지 경북-대구 낙동강본류 경계인 성주대교 하류 3km지점(낙본F지점)은 BOD의 경우, 기존 제3단계(2016~2020)와 동일하게 1.9㎎/ℓ으로 결정됐으나, 녹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부영양화 지표인 T-P는 제3단계 0.058㎎/ℓ에서 31% 낮아진 0.040㎎/ℓ으로 결정됐다.
한편, 경북-대구 금호강본류 경계인 가천잠수교지점(금호B지점)은 BOD 3.3㎎/ℓ에서 3.0㎎/ℓ으로, T-P는 0.093㎎/ℓ에서 0.072㎎/ℓ까지 각각 9% 및 23%까지 개선토록 목표수질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시·군에서는 4단계 기본계획에 의거 확정된 단위유역별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 오염원 삭감계획이 포함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내년 12월말까지 수립해 경북도지사 승인을 얻어 시행해야 한다.
또한 제4단계 기본계획의 본격 시행으로 시·군에서는‘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총량관리 목표를 준수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못할 경우에는 산업공단 및 관광지조성 등 각종 개발사업 인허가 등에 제한이 따를 전망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이번에 지역개발을 위한 할당량 5t/일을 어렵게 확보한 만큼 시·군에서는 2030년까지 목표수질 유지·달성에 노력해 달라”며 “향후 각종 지역개발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기술지원, 교육, 홍보 등에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