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할매글꼴을 제작한 경북 칠곡군이 한글날을 앞두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빗대어 국민들이 널리 편하게 칠곡할매글꼴을 이용하라는 의미인 ‘용민정음(用民正音)’을 발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칠곡군은 6일 군청 갤러리에서 칠곡할매글꼴 의미와 가치를 알리고 한글 사랑운동 확산을 위해‘칠곡할매 굿즈 전시회’를 열었다.
굿즈는 칠곡할매글꼴을 활용해 칠곡군 주민들이 직접 제작한 병풍 술잔 부채 등의 30여 점의 홍보 물품으로 전시회는 오는 15일까지 계속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 조선어학회를 창립하고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만드는 등 우리말 보급과 교육에 앞장선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 최홍식(68) 교수가 참석해 칠곡할매글꼴을 만든 다섯 명의 할머니와 만남을 가져 눈길을 끌었다.
칠곡할매글꼴을 제작한 추유을(87) 할머니는 최현배 선생의 제사상에 올려달라며 자신이 직접 재배한 햅살을 손자에게 전달했다.
일제 강점기 시절 한글을 지키고 팔순이 넘은 나이에도 쉽게 한글을 배울 수 있도록 대중화 시켜준 최현배 선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서다.
손자 최 교수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대표이사, 한글학회 재단이사 외솔회 명예이사장 연세대학교 이빈후과 명예교수 등을 역임하며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과학화에 기여했다.
이에 최 교수는 “칠곡할매글꼴을 통해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전국으로 확산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강명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