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이 학교 교육활동 전반의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한 단계적 학교 일상회복 방안을 4일 발표했다.
이번 단계적 학교 일상회복 방안은 교육부의 교육 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 방안에 따라 철저한 학교 방역체계 하에 ‘안전’한 학교의 일상회복, 온전한 학교 일상회복을 위한 교육활동 전반의 ‘정상화’, 코로나19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교육회복, ‘미래교육’으로서의 전환에 무게를 두고 특히 교육분야의 특수성과 학생 안전을 최우선으로 ▷수능(11.18) 이전 ▷수능 이후 2학기 ▷겨울방학 ▷2022년 1학기 이후 등 4 단계로 구분하고, 이에 철저한 준비와 현장 의견을 수렴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학사운영’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학습 결손,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지난 5월부터 실시해 온 전면등교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단, 지역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학교 여건에 맞는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의료체계 붕괴 우려 상황에서의 ‘비상계획(contingency plan)’ 전환 시 학교 밀집도 제한을 밝혔다.
다음으로, ▶‘교육활동’에 있어서는 교육활동 운영의 제약 요소를 점진적으로 수정·완화해 교과·비교과 전반의 교육활동 정상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유치원은 개별놀이 중심에서 또래놀이·바깥놀이·신체활동 중심으로 정상 운영에 들어가며, 이어 초·중·고등학교는 교육활동 목적과 필요에 따라 이동식 수업, 모둠활동, 토의·토론, 실험·실습 등 다양한 수업운영이 가능하며, 학교 행사도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현장체험학습은 50명 미만으로 팀을 나누어 소규모로 운영 가능하다. 그러나 학생의 안전 등을 고려해 수학여행 및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은 제한되며, 방역 및 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안정화되는 2022학년도 1학기 이후 가능 여부를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가족과 함께하는 숙박형 가족캠프는 가능하다.
이어 ▶‘방역’에 있어서는 학교 내 거리두기, 발열검사, 생활소독의 업무를 수행하는 방역도우미 인건비를 2021년 2학기에 106억 1,693만 원(3,580명)을 희망하는 모든 학교에 지원한데 이어, 2022년 1학기에도 108억 원(3,580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2년도 방역물품(보건마스크, 손소독제, 소독티슈 등) 구입, 정기적 방역소독비 등 감염병 예방 관리에 대한 예산 30억 원을 지원해 보다 탄탄한 학교 방역 체계를 구축·추진을 밝혔다.
다음으로, ▶‘교육회복’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학습, 심리·정서, 사회성 분야에서 나타난 교육결손을 해소하기 위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11월 이후 2학기와 겨울방학을 교육회복 집중 기간으로 운영해 모든 학생을 위한 맞춤형 지원 등 교육회복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특히, 겨울방학 동안 학습결손, 정서·사회성 회복 노력이 이어질 수 있도록 희망하는 학교에는 학교 단위의 자율적인 교육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예산을 지원해 교육회복의 기틀을 마련하여 완전한 일상회복의 디딤돌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