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안전 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며 전국 16개 지역본부별 거점에서 총파업에 들어갔다.
대구·경북지역에서도 화물기사 2200여명이 파업에 동참했다.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는 25일 구미시청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3일간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 측은 이날 출정식에는 노조 소속 조합원 1300여명 중 500여명이 참여했으며 이 중 300명은 구미지부 조합원이라고 했다.
포항과 경주지부 조합원 1100여명도 포항 철강공단에서 출정식을 가졌다. 포항지부 900여명도 이날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국내 최대 철강업체가 있는 포항지역의 한 업계 관계자는 "파업에 대비해 긴급 자재는 사전 출하했고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해상을 통하거나 철도를 이용하는 등 전환 물류수송 방안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참여 인원과는 별도로 당장은 물류 수송에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이번 파업에 대비해 관계부처와 지자체, 화물운수사업자단체 등과 함께 비상수송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화물연대본부는 이번 파업을 통해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 전차종·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 적용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쟁취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화물운송 시장의 다단계 하청구조 속에서 대부분의 운임비가 중간 착취를 당해 노동자들이 사실상 과적·과속 운행을 강요당해 왔다며 적절한 운임 보상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주가 안전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오는 2022년까지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됐다.
시행 만료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정부와 국회에 안전운임제 전면 실시를 요구하는 게 이번 파업의 골자다.
화물연대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정부와 국회가 2023년 안전운임제가 일몰제로 인해 폐지됨에도 묵묵부답이다. 지금부터 논의를 해서 존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노동자들의 최소한의 생계가 보장될 수 있도록 다단계 하청으로 얼룩진 화물운송 시장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화주와 운수사업자들의 부담 과중 등을 이유로 요구 수용에 난감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27일 서울에서 정부와 여당을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열고 요구안 수용을 촉구할 계획이다. 김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