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올림픽 불참 거리 둔 文 “보이콧 검토 안해”..
정치

올림픽 불참 거리 둔 文 “보이콧 검토 안해”

뉴시스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1/12/13 19:01 수정 2021.12.13 19:01
 ‘종전선언’ 불씨 살리기 안간힘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참가의 권유를 받은 바 없고, 한국 정부도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중국의 건설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한국은 미국과의 굳건한 동맹을 기반으로 삼으면서 중국과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고 있습니다.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각)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두 문장은 미중 사이에 낀 한국의 복잡한 상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동참에 선을 그으면서도 한미 동맹을 강조했다. 그런가 하면 한반도 비핵화에 노력한 중국과의 조화도 부각했다. 
두 달 앞으로 다가온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동참에 유보적 입장을 밝힌 데에는 사그라드는 '남북미중 종전선언' 불씨를 살리겠다는 간절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공동기자회견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등 한·호주 정상회담 성과를 공개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급변하고 있는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현안 질문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미국이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가치를 앞세운 동맹국들과의 스크럼으로 대(對) 중국 포위망을 좁히고 있고, 호주가 선봉에 서 있다는 점에서 한·호주 정상 간 정세 인식이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호주는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3자 외교안보협의체)와 파이브아이즈(Five Eyes·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5자 기밀정보 동맹)라는 틀 안에서 반(反) 중국 연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중국 인권 때리기에 한창이었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북한의 인권을 정면으로 문제삼아 첫 대북제재 조치를 가하면서 문 대통령의 남북미중 4자 종전선언 구상이 사실상 생명력을 잃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복잡한 맥락 속에서 문 대통령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한국 정부 차원의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명시적으로 선을 그은 것은 끝까지 '종전선언 끈'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 동계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여부를 언제·어떻게·어떤 기준으로 결정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참가의 권유를 받은 바가 없고, 한국 정부도 검토하지 않고 않다"고 답했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