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작년 가구당 평균소득 6125만원…재난금 공적소득 ‘최대..
정치

작년 가구당 평균소득 6125만원…재난금 공적소득 ‘최대’

뉴시스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1/12/16 17:57 수정 2021.12.16 17:58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에도 가구당 평균소득이 처음으로 6000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가구의 소득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은 1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의 평균소득은 6125만원으로 1년 전보다 3.4% 늘었다.
가구소득 가운데 근로소득과 재산소득은 각각 3855만원, 432만원으로 1.7%, 3.6% 증가했다. 반면 사업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은 각각 1135만원, 101만원으로 1.4%, 6.4% 감소했다.


공적이전소득은 31.7% 늘어난 602만원으로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 소득에는 지난해 정부에서 지급한 재난지원금이 포함된다. 전체 소득에서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9.8%로 전년 대비 2.1%포인트(p) 상승했다. 반대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비중은 각각 62.9%, 18.5%로 1.1%p, 0.9%p 하락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재난지원금이 큰 폭으로 지원되면서 소득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 부분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득 5분위별 소득 구성비를 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47.1%(610만원)에 달한다. 근로소득은 23.7%(307만원)에 그쳤다.


소득 2분위 이상에서는 근로소득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경우 근로소득이 전체 소득의 68.8%(9779만원)를 차지했고, 사업소득은 18.4%(2618만원)로 뒤를 이었다. 공적이전소득의 증가율이 소득 상위 구간에서 더 높았던 점도 특징이다. 이 수치는 5분위(52.1%), 4분위(34.2%), 3분위(32.4%), 2분위(23.5%), 1분위(23.3%) 순으로 집계됐다.


임 과장은 "재난지원금은 가구 구성원 수가 많은 가구에서 많이 받게 된다"며 "고분위에서 가구원 수가 많은 측면이 있어 재난지원금을 더 받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소득도 1분위부터 5분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분위 평균소득은 1294만원으로 전년 대비 12.0% 늘었고, 5분위 평균소득은 1억4208만원으로 2.2% 증가했다.
3분위와 4분위는 각각 7325만원, 4844만원으로 2.8%, 3.7% 늘었고, 2분위는 6.8% 뛴 2950만원이다.


소득 점유율로 따져보면 5분위와 4분위 가구는 각각 46.4%, 23.9%로 전년 대비 0.5%p, 0.1%p 감소했다. 3분위는 15.8%로 변동이 없었고 2분위와 1분위는 각각 9.6%, 4.2%로 각각 0.3%p씩 올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구의 공적이전소득 비중은 23.4%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근로소득은 50대(5366만원), 사업소득은 40대(1613만원) 구간에서 가장 많았다.

재산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은 60세 이상에서 각각 566만원, 1004만원으로 최고치를 찍었다. 종사상 지위별 가구의 평균소득은 상용근로자 가구(8096만원), 자영업자 가구(6857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3844만원) 순으로 많았다.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