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와 관련해 임기 중 다섯 번째 대국민 사과를 했다.
거리두기 강화로 방역 조치가 후퇴한 데 대해 진솔한 사과를 통해 국민들의 양해를 구하고, 동시에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돌아가기 위한 전열 재정비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코로나19 방역을 책임지는 행정수반으로서 본인의 책임을 통감하고, 당면한 위기를 돌파하는 데에만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참모회의에서 정부의 방역조치 강화와 관련해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 위중증 환자의 증가를 억제하지 못했고, 병상 확보 등에 준비가 충분하지 못했다"며 "방역조치를 다시 강화하게 되어 국민들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이 코로나19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한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시행한 지난 7월12일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코로나19 초기인 지난해 3월 마스크 대란, 같은 해 8월 광복절 집회 계기 거리두기 격상, 12월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등을 포함해 코로나와 관련해 다섯 번째 대국민 사과를 하게 됐다.
특히 문 대통령의 이날 사과는 거리두기로 후퇴한 상황과 관련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정부는 5000명 또는 1만명 정도까지 확진자 수가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대비를 했다"고 밝힌 바 있지만, 결국 40여 일 만에 단계적 일상회복의 중단 사태를 맞았기 때문이다. 또 병상 부족 등 코로나19 의료체계가 한계점에 다다르면서 새 국면을 맞은 K-방역의 재정비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방역 관련 보고에서 행정명령 등을 통해 확보한 병상들이 코로나 위중증 병상 시설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아 즉각 활용되지 못하는 것과 관련해 안타까움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