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 기한으로 정한 6일을 하루 앞두고 당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친박계 의원들은 유 원내대표가 사인한 국회법 개정안이 여당 의원들의 반대표로 부결되거나 표결 불참으로 자동폐기되면 일제히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를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김무성 대표의 '입단속' 방침에 따라 큰 목소리를 내지는 않고 있지만 6일 유 원내대표가 사퇴를 하지 않을 경우 집단 행동에 돌입할 가능성도 크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반대하는 비박계 의원들 역시 조용히 세를 모으고 있다.
이들은 눈에 띄는 단체 행동을 하지는 않지만 유 원내대표의 사퇴 문제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는 의원들을 물밑에서 설득하고 있다.
유 원내대표가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언급하면서 결단의 시기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 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심각한 경제상황을 고려해 이번 추경안은 20일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상임위와 예결위를 독려하고 야당의 협조를 구하겠다"며 추경 처리에 강한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