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 면 농어촌 등 홍보
▲ © 운영자
경북지방우정청은 10일부터 전국 알뜰폰 판매우체국이 기존 226개에서 359곳으로 확대된다고 밝혔다.<사진>
이에 우정청은 농어촌지역 주민도 편리하게 가입할 수 있도록 읍·면소재 130곳 우체국으로 늘렸으며, 연말까지 600여곳으로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대구·경북지역에서도 지난해 9월 27일부터 시·군단위 31개 우체국에서 알뜰폰 판매를 시작해 판매 7개월 여 만에 1만 가입자가 신청을했으며, 오는 10일부터는 읍·면지역 9개 우체국을 추가해 총 40개 우체국에서 알뜰폰을 판매한다고 전했다.
우정청은‘알뜰폰’판매 우체국이 늘어나는 만큼 내부 프로세스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개통여부만 확인이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통합사이트 구축으로 신청부터 개통까지의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고객응대가 가능할 것이라는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더불어 알뜰폰 통신사는 새 요금제도도 시행한다.
폴더폰의 비중을 5종에서 7종으로 늘리고 기본료 3,000원에 음성 50분을 기본 제공하는 등 저가 요금제를 강화하며, 사용량이 많은 고객을 위한 음성 완전 무제한 요금제도 출시될 예정이다.
이번에 신규 판매하는 상품과 알뜰폰 취급 우체국은 인터넷우체국,경북지방우정청 홈페이지알뜰폰 안내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만표 경북지방우정청장은“지난달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한 알뜰폰 관련 상담사례에서 전화판매로 가입한 장년층의 피해가 많았다”며,“우체국은 영업이익보다도 고객의 입장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와 단말기를 추천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